 |
보행 기본 구조 로봇에서의 3축 직교좌표 (로봇의 움직임을 표현한다.) |
위의 그림을 보면 이해가 쉽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면 이 구조에 대해 이해하기 쉽게 알아보도록 한다.
3축 직교좌표는 로봇의 움직임을 좌표속에서 표현하는 도구이다.
X, Y, Z 3차원 공간을 향해 직선방향으로 로봇이 움직이거나 X, Y, Z축을 중심축으로 그 축의 회전하는 방향(Roll, Pitch, Yaw)을 통해 로봇의 관절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그 직교좌표를 바탕으로 휴머노이드 하반부 보행 기본 구조를 표현한 것이다.
따라서 보행 기본구조를 3축 직교좌표에 대입해서 이해하면 로봇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확인할 수 있다.
특히 'Roll, Yaw, Pitch'라는 조금 생소한 단어가 로봇관절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유의해서 봐야 한다. 이부분에 있어서 목운동으로 이 모든것을 설명해 보도록 하겠다.
3차원 직교좌표 설명
사람의 목 운동과 비교하면 이해가 쉽다.
고개를 좌우로 갸웃거리는것은 Roll
고개를 상하로 끄덕이는 것은 Pitch
고개를 절레절레 흔드는것은 Yaw
 |
고개를 좌우로 갸우뚱 고개를 상하로 끄덕 고개를 절레절레 흔듬 |
보행구조 설명
이제 어떻게 로봇이 움직이는지 다양한 동작 예를 통해 알아보았다. 여러분이 직접 관절이 움직이는 장난감, 프라모델 등으로 한 번 다양한 동작 표현을 해보면, 더욱 더 도움이 될 것이다.
각 동작이 움직일 때마다 어떤 관절(Roll, Pitch, Yaw)들이 움직이는지도 확인해 보도록 하자.
 |
기본자세 다리 앞으로 들기 다리 뒤로 들기 |
 |
발목 꺽기 다리 벌리기 다리 수평으로 굽히기 |
<로보링크 이현종 이사
www.robolink.co.kr>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클리홍콩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