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홍콩에 계신 한인 여러분, 코트라 홍콩무역관에 근무하는 이주상 과장입니다.
대한민국이 런던 올림픽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는데요, 많은 선수들이 "초심"을 잃지 않고 4년간 열심히 훈련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이 "초심"에 대한 좋은 글이 있어 소개해 드립니다.
관리는 지위를 얻는데서 게을러지고, 병은 조금 나아지는 데서 악화되며, 재앙은 게으른 데서 생기고, 효도는 처자에서 약해진다. 이 네 가지를 살펴서 삼가 끝맺음을 처음처럼 할지니라. (설원)
실패보다는 성공 경험이, 결핍보다는 풍족함이, 위험보다는 안정이 우리를 나락으로 인도합니다. 성공한 사람들에게 가장 힘든 싸움은 남과의 경쟁이 아닌, 나 자신과의 싸움, 특히 자기도 모르게 튼튼하게 자라난 오만이라는 적과의 싸움입니다. (출처 : 조영탁의 행복한 경영이야기)
그럼 이과장의 경제 비타민 열일곱번째 순서로 출발해 보시겠습니다. 출발~!
의류회사 에스프릿(Esprit) 주식 8.7일 하루 사이 28% 올라
자라(Zara)와 Bershka의 유통회사인 Inditex사의 유통, 운영 총괄임원이었던 Marinez가 에스프릿(Esprit) 최고 경영자로 임명되며 에스프릿 주식은 8.7일 하루 동안 40 까지 급등하였습니다.
이번 CEO 인사로 주식은 최대 38.4%가 오른 13.8 홍콩달러를 기록했지만 이후 28%대로 떨어져 12.76 홍콩달러로 마감하였습니다.
Esprit 주주들은 새로운 CEO에게 구세대 이미지 타파, 디자인 개선, 중국 시장 수익 상승을 목표로 노력해 주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드러냈습니다.
관련 시장 전문가들은 유럽 시장심리가 침체되어 단기간에 큰 판매수익을 거두긴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Marinez의 경험상 장기간으로는 실적 개선이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표시하였습니다.
中 성장률 저하 속 딤섬 본드, 그 향배는?
홍콩에서 발행되는 위안화 표시 채권인 딤섬본드는 2012년 상반기까지 발행량이 꾸준히 증가해왔습니다.
특히 올 상반기 중에는 국가개발은행, 중국농업발전은행, 중국수출입은행 등 중국 국책은행이 주로 딤섬본드를 발행 했으며, 이들이 발행량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중국 국영기업의 조치들이 중국-홍콩간 경제협력협정(CEPA)에 명기된 금융산업 발전을 위한 상호 협력의 일환으로 보인다는 의견을 내기도 하였습니다.
한편 딤섬본드의 금리(수익률)는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는 추세입니다. 즉, 채권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여 가격이 하락하고 금리는 오르고 있는 형국인데요, 이렇게 인기가 떨어지고 있는 이유는 중국의 위안화 절상에 대한 기대가 과거만 못하기 때문입니다.
즉, 예전 기준대로라면 딤섬본드 보유시 위안화 절상으로 인한 환차익 약 6%, 채권 자체 수익 약 2%의 합을 딤섬본드 보유 수익률로 어림잡을 수 있는데요, 위안/달러 절상률이 시장 예상치를 밑돌면서 딤섬 본드 수요가 주춤하는 형국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MTR 요금 내년 추가 인상 조짐
홍콩의 MTR(한국의 지하철 격)을 운영하는 MTR사의 올 상반기 순이익이 전년 동일 기간 대비 33.2% 하락한 586만 홍콩달러를 기록 하였습니다. 3년 만에 첫 순이익 감소였는데요, 이는 부동산 판매 부진, 부동산 자산에 대한 평가가격 하락 등으로 인한 것입니다.
MTR요금은 근 3년간 매 년 인상되었고, 올해는 6월에 요금이 이미 5.4% 인상된 바 있습니다. 특히 이번 순이익 감소는 내부적인 요금조정을 앞둔 시기여서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기도 합니다.
이러한 논란에 MTR사 CEO Jay Walder는 정부와 요금인상 논의를 하고 있지 않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관련 전문가들은 MTR의 수익이 떨어졌지만 펀더멘털은 여전히 튼튼하고 운송, 부동산업 비즈니스도 견실하다고 평가하였습니다.
또한 MTR사는 베이징의 47킬로미터 규모의 지하철 공사 입찰에 응한 상태이고, 영국 공식 지하철 운영권을 위한 입찰에도 유망권에 올랐다고 알려지기도 하였습니다.
중국 재계 일부, 선전 젠하이에 통합금융감독기구 설립 제안
중국은행(국제)의 셰용하이 부회장은 선전 첸하이(前海)를 금융혁신지구로 만들기 위해서는 은행, 증권, 보험 등을 동시에 관리하는 통합금융감독기구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첸하이 자문위원회 고문이기도 한 셰용하이는 금융감독, 보안, 홍콩과의 금융 협력 등 첸하이의 금융혁신을 위한 여러 방안을 제시하였습니다.
한편, 첸하이 지구 관리국과 중국 개발은행에 의하면, 첸하이 개발을 위해 향후 10년간 4,717억위안의 고정자산투자가 예상되며, 이중 인프라 건설에 2,665억위안에 투입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매일매일 이메일로 드리고 있는 “홍콩무역관 이과장의 경제 비타민”, 이메일로 받아보기 희망하시는 분들께서는 bill@kotra.or.kr로 회사명(있을 경우), 성명, 직책, 전화번호를 이메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더 많은 정보는 www.globalwindow.org 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 주에는 더 풍성한 소식으로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클리홍콩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