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 푼 안쓰고 내집 마련 언제?…통계는 6년, 체감은 13년
  • 위클리홍콩 기자
  • 등록 2015-11-26 16:07:10
기사수정
  • 직장인이 월급을 한 푼도 안쓰고 모을 경우 내 집을 마련할 수 있는 기간은 얼마일까. 정부가 발표한 소득대비 주택가격(PIR, Price to Income Rat..
직장인이 월급을 한 푼도 안쓰고 모을 경우 내 집을 마련할 수 있는 기간은 얼마일까.

정부가 발표한 소득대비 주택가격(PIR, Price to Income Ratio)은 5.7배로 세후 소득을 약 6년간 모으면 살 수 있다고 알려졌으나, 실제 국민들은 13년은 모아야 집을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4일 현대경제연구원이 전국 성인남녀 8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들의 실질 체감 PIR는 12.8배로 조사됐다. 세후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12년10개월간 모아야 집을 살 수 있다고 인식하는 셈이다.

특히 서울지역 거주자들의 평균 체감 PIR은 14배로 중부권(12.1배), 영남권(12.0배), 호남권(12.2배)보다 높았다.

저소득층일수록 내 집 마련 기간이 길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월평균 가구소득 399만~499만원, 500만원 이상 가구의 PIR는 각각 12.7배, 12.8배였으나 월 가구소득 299만원 이하인 가구의 PIR은 13.6배로 평균보다 높았다.

월세 거주자 PIR은 14.7배, 전세 거주자 PIR은 13.5배로 평균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었다. 연령별로는 30대(13.1배), 40대(13.5배) PIR이 평균 수준을 상회했다.

체감 주택가격도 통계와 실제 설문조사가 차이가 컸다.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2015년 9월 평균 주택 매매가격은 2억4400만원이나, 이번 설문조사 응답자들의 평균 체감 주택매매 가격은 2억8000만원으로 3600만원 더 비쌌다.

특히 서울지역 체감 주택 매매가격은 3억8000만원으로 평균보다 1억원 높았다. 이는 인천·경기(2억8000만원), 중부권(2억3300만원), 영남권(2억5000만원), 호남권(2억2700만원)보다도 1억~1억5000만원 더 높은 수준이다.

연령별 체감 주택 매매가격은 50대가 3억100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60대 이상(2억9100만원), 40대(2억8100만원), 20·30대(2억7000만원) 순으로 조사됐다.

소득별 체감 주택 매매가격은 500만원 이상 3억1300만원, 300만~499만원 2억6900만원, 299만원 이하 2억5900만원으로 소득이 높을수록 높은 편이었다.

향후 주택가격은 더 오를 것이란 응답률이 45.8%였던 반면 하락할 것이란 응답률은 15.3%에 그쳤다. 응답자들은 향후 1년 뒤 주택 매매가격이 평균 1000만원 오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특히 서울시 평균 주택 매매가격 상승 전망치는 1964만원으로 600만~1000만원이었던 다른 지역의 2~3배에 달했다.

연령별 주택 매매가격 상승액 전망치는 20대 1780만원, 30대 1477만원, 40대 6억9600만원, 50대 173만원, 60대 이상 52만원으로 연령대가 낮을수록 높았다.

거주유형별로는 전세(1970만원), 월세(1858만원) 거주자의 집 값 상승 전망치가 자가(635만원)보다 훨씬 높았으며, 소득별로는 299만원 이하(1289만원), 500만원 이상(905만원), 300만~499만원(862만원)으로 각각 조사됐다.

응답자들은 정부 주택시장 정책과 관련해 저금리 정책(36.1%)를 가장 선호했다. 반면 LTV(주택담보인정비율)·DTI(총부채상환비율) 완화 선호도는 9.4%에 머물렀다. 특히 응답자 56.5%는 집값 안정과 가계부채 해결을 위해 LTV·DTI 규제를 다시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향후 1년 이내 주택을 구입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률은 15.3%이었다. 전월세 등 임차가구 중에서는 20.1%가 주택구입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연령별 주택구입 의향 비율은 30대가 25.7%로 가장 높았고 이어 40대(16.1%), 50대(12.7%), 60대 이상(9.1%) 순으로 조사됐다.

주택을 구입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선 52.3%가 ‘주택이 필요없다’를 선택했다. 이어 ‘경제적 여유가 없다’(30.5%), ‘주택가격 하락 우려’(8.4%), ‘세금 등 주택보유비용 과다 지출’(5.7%) 순이었다.

이용화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저소득층 주택 구입 여력 확대를 위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통한 소득증대, 세제 지원 정책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며 “주택가격 안정과 가계부채 증가 억제를 위해 LTV·DTI 규제 재강화를 적극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스탬포드2
홍콩 미술 여행
홍콩영화 향유기
굽네홍콩_GoobneKK
신세계
NRG_TAEKWONDO KOREA
유니월드gif
aci월드와이드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