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 ‘태양의 후예’ 효과를 톡톡히 누리고 있는 K-뷰티 과연 요즘 ‘태양의 후예’에 빠지지 않은 여자 있을까? 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드라마 ‘태양의 후예..
과연 요즘 ‘태양의 후예’에 빠지지 않은 여자 있을까? 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드라마 ‘태양의 후예’는 현재 국내에서 가장 사랑받는 드라마 중 하나이다. 의사와 군대 안의 대위의 로맨스를 그린 ‘태양의 후예’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상영되었던 대부분의 로맨스 드라마의 ‘삼각관계’ 라는 틀을 깨 시청자들의 주목을 잡았고, 여배우 ‘송혜교’, 배우 ‘송중기’ 뿐만 아니라 이외 서브주연, 조연까지 인기를 누리는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태양의 후예’는 국내를 넘어서 해외에서도 상당한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배우 ‘송중기’의 인기는 국가에 긍정적인 경제 효과까지 주는 대단한 영향력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더불어 뷰티 산업 또한 드라마의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는데 오늘은 드라마 ‘태양의 후예’의 뷰티 효과를 알아보려고 한다.
드라마 ‘태양의 후예’ 이후 많은 여성들이 극 중 강모연 역 (송혜교) 과 윤명주 역 (김지원) 의 메이크업을 워너비로 삼는 상황을 첫째로 볼 수 있다. 지금까지도 많은 뷰티 유투버와 뷰티 블로거들이 극중 여배우의 메이크업을 따라 하는 일은 빈번히 있었지만 ‘태양의 후예’는 다르다.
깨끗하고, 가벼운 이미지를 어필하는 두 역활의 메이크업은 현대 여성들의 인기를 사기에 충분했고, 따라 하기도 쉽기 때문에 수많은 뷰티 유투버들에게 다뤄지고 있다.
두 번째로는 ‘태양의 후예’ 상영 후 거대한 성장 효과와 인기를 누리고 있는 국내 뷰티 브랜드를 소개하고 싶다.
(1) 라네즈 ‘투톤 립 / 섀도우 바’
쿠션 파운데이션으로 유명한 국내 아모레 퍼시픽의 브랜드의 주요 브랜드 중 하나인 ‘라네즈’가 새로운 제품을 소개했다. 제품은 ‘투톤 바’로 립 제품과 섀도우 바가 국내와 해외에 런칭되었다.
배우 ‘송혜교’가 투톤 립 바를 바르는 한 장면만으로 그녀가 썼던 제품이 완판이 되는 엄청난 효과를 톡톡히 보게 된 라네즈의 ‘투톤 립바’는 그 이후 립 제품뿐만이 아니라 섀도우 제품 또한 계속적인 인기를 보여주고 있다. 제품의 사용법이 쉽고, 한 번에 두 가지 효과를 본다는 점에서 여성들에게 새로움과 간편함을 주는 ‘투톤 립 / 섀도우 바’는 라네즈에서 작년에 이어 계속 힘주고 있는 제품라인이다.
그럼 ‘라네즈’만이 드라마의 바이럴 효과를 누리고 있는가? 꾸준한 인기를 보여줬던 ‘라네즈’가 있는가 하면 새롭게 떠오른 화장품 ‘닥터지’ 또한 드라마 ‘태양의 후예’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2) 닥터지
물론 극 중 가장 큰 분량을 차지하고, 인기를 누리는 여자 배우는 ‘송혜교’이지만 그녀 못지않게 엄청난 인기를 받게 된 여배우 ‘김지원’도 있다. 드라마 상영 이후 배우 ‘김지원’은 닥터지와의 재계약을 하게 되었고, 닥터지의 선크림 또한 상당한 인기를 누리게 되었다. 닥터지는 사실 프로그램 ‘겟잇뷰티’에서도 소개된 브랜드이지만 ‘겟 잇 뷰티’ 방영 이후 그닥 큰 성과는 없었던 걸로 기록되었다. 그러나 드라마에 닥터지의 뮤즈인 ‘김지원’이 나온다는 이유 하나 만으로 매상이 두 배로 뛰는 효과를 보았다고 한다.
인기 있는 제품으로는 닥터지의 선크림 라인을 들 수 있는데, 피부에 자극 없이 톤 업을 시켜주는 두 마리의 토키를 다 잡은 선크림으로 소개가 되었었고, 20대 여성들을 타겟으로 판매되고 있다고 한다. 다가오는 여름을 위해 준비하는 여성들에게 닥터지의 선크림을 추천하고 싶다.
물론 바이럴 효과로 높은 수익을 내고 있는 브랜드는 이외에도 많고, 이것은 국가의 경제 효과에도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하지만 드라마 상에서 너무 많은 마케팅 요소는 정말 좋은 브랜드를 걸러 내는데 어려움을 주는 경우도 있으며 다른 한편에는 드라마 ‘태양의 후예’가 광고효과를 위해 스토리 상에 계획되지 않은 씬까지 포함했다는 이유로 적잖은 비판 또한 받고 있다고 한다. 소비자로써 우리가 취해야 할 자세는 정말 본인에게 필요한 제품을 알아보는 눈과 항상 써보기 전에 테스팅 하는 습관이 아닐까.
<작성: 윤우정 인턴기자 woojeung0102@hotmail.com>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클리홍콩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