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라이프 코치에게서 온 편지(83) - 고생 속에 숨은 보석
  • 위클리홍콩 기자
  • 등록 2006-05-18 12:57:38
기사수정
  • [제126호, 5월19일]   요즘은 매일 아침 받아 보던 일간지나 저녁뉴스를 거의 보는둥 마는둥 하고 지내는 편입니다. &nbs..
[제126호, 5월19일]

  요즘은 매일 아침 받아 보던 일간지나 저녁뉴스를 거의 보는둥 마는둥 하고 지내는 편입니다.  굳이 공들여 찾아내지 않아도 그런 뉴스거리들이 이메일을 통해 줄줄이 사탕으로 들어오기도 하거니와, 혹시 사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는 정보가 있을까 호기심에 주의를 기울여도 결국 기억에 오래 남는 건 터무니없이 적은 양이기 때문입니다.  온라인 오프라인 할 것 없이 정보의 홍수 속에 초점을 잃고 허우적대는 일상에도 불구하고 문득문득 떠오르는 에피소드나 글귀들이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가난한 날의 행복"이라는 김소운(金素雲)의 수필입니다.  학창시절을 떠올리면 희미하게나마 기억이 날 만한 이 글을 위클리 지면을 통해 여러분과 함께 나눠보고자 합니다.

가난한 날의 행복(幸福)
  먹을 만큼 살게 되면 지난날의 가난을 잊어버리는 것이 인지상정(人之常情)인가 보다.  가난은 결코 환영(歡迎)할 것이 못 되니, 빨리 잊을수록 좋은 것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가난하고 어려웠던 생활에도 아침 이슬같이 반짝이는 아름다운 회상(回想)이 있다.  여기에 적는 세 쌍의 가난한 부부(夫婦) 이야기는, 이미 지나간 옛날이야기지만, 내게 언제나 새로운 감동(感動)을 안겨다 주는 실화(實話)들이다.  그들은 가난한 신혼 부부(新婚夫婦)였다.  보통(普通)의 경우(境遇)라면, 남편이 직장(職場)으로 나가고 아내는 집에서 살림을 하겠지만, 그들은 반대(反對)였다.  남편은 실직(失職)으로 집 안에 있고, 아내는 집에서 가까운 어느 회사(會社)에 다니고 있었다.

   어느 날 아침, 쌀이 떨어져서 아내는 아침을 굶고 출근(出勤)했다.
  "어떻게든지 변통을 해서 점심을 지어 놓을 테니, 그때까지만 참으오."   출근하는 아내에게 남편은 이렇게 말했다.  마침내 점심시간이 되어서 아내가 집에 돌아와 보니, 남편은 보이지 않고, 방안에는 신문지로 덮인 밥상이 놓여 있었다.  아내는 조용히 신문지를 걷었다.  따뜻한 밥 한 그릇과 간장 한 종지……. 쌀은 어떻게 구했지만, 찬까지는 마련할 수 없었던 모양이다.  아내는 수저를 들려고 하다가 문득 상위에 놓인 쪽지를 보았다.

  "왕후(王侯)의 밥, 걸인(乞人)의 찬……. 이걸로 우선 시장기만 속여 두오."  낯익은 남편의 글씨였다.  순간(瞬間), 아내는 눈물이 핑 돌았다.  왕후가 된 것보다도 행복(幸福)했다. 만금(萬金)을 주고도 살 수 없는 행복감(幸福感)에 가슴이 부풀었다.

  다음은 어느 시인(詩人) 내외의 젊은 시절(時節) 이야기다.  역시 가난한 부부였다.

   어느 날 아침, 남편은 세수를 하고 들어와 아침상을 기다리고 있었다.  그 때, 시인의 아내가 쟁반에다 삶은 고구마 몇 개를 담아 들고 들어왔다.

   "햇고구마가 하도 맛있다고 아랫집에서 그러기에 우리도 좀 사 왔어요.  맛이나 보셔요."

  남편은 본래 고구마를 좋아하지도 않는데다가 식전(食前)에 그런 것을 먹는 게 부담스럽게 느껴졌지만, 아내를 대접하는 뜻에서 그 중 제일 작은 놈을 하나 골라 먹었다.  그리고 쟁반 위에 함께 놓인 홍차(紅茶)를 들었다.

   "하나면 정이 안 간대요.  한 개만 더 드셔요."
   아내는 웃으면서 또 이렇게 권했다.  남편은 마지못해 또 한 개를 집었다.  어느 새 밖에 나갈 시간이 가까워졌다.  남편은  "인제 나가 봐야겠소.  밥상을 들여요." 하고 재촉했다.
  "지금 잡숫고 있쟎아요.  이 고구마가 오늘 우리 아침밥이어요."
  "뭐요?"

   남편은 비로소 집에 쌀이 떨어진 줄을 알고, 무안(無顔)하고 미안(未安)한 생각에 얼굴이 화끈했다.   "쌀이 없으면 없다고 왜 좀 미리 말을 못 하는 거요?  사내 봉변(逢變)을 시켜도 유분수(有分數)지."  뿌루퉁해서 한 마디 쏘아붙이자, 아내가 대답했다.

  "저의 작은아버님이 장관(長官)이셔요.  어디를 가면 쌀 한 가마가 없겠어요?  하지만 긴긴 인생(人生)에 이런 일도 있어야 늙어서 얘깃거리가 되잖아요."   잔잔한 미소를 지으면서 이렇게 말하는 아내 앞에, 남편은 묵연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면서도 가슴속에는 형언(形言) 못 할 행복감이 밀물처럼 밀려 왔다.

   다음은 어느 중로(中老)의 여인(女人)에게서 들은 이야기다.  여인이 젊었을 때였다.  남편이 거듭 사업(事業)에 실패(失敗)하자, 이들 내외는 갑자기 가난 속에 빠지고 말았다.  남편은 다시 일어나 사과 장사를 시작했다.  서울에서 사과를 싣고 춘천(春川)에 갔다 넘기면 다소의 이윤(利潤)이 생겼다.  그런데 한 번은, 춘천으로 떠난 남편이 이틀이 되고 사흘이 되어도 돌아오지를 않았다.  제 날로 돌아오기는 어렵지만, 이틀째에는 틀림없이 돌아오는 남편이었다.  아내는 기다리다 못해 닷새째 되는 날 남편을 찾아 춘천으로 떠났다.

   "춘천에만 닿으면 만나려니 했지요.  춘천을 손바닥만 하게 알았나 봐요.  정말 막막하더군요.  하는 수 없이 여관(旅館)을 뒤졌지요.  여관이란 여관은 모조리 다 뒤졌지만, 그이는 없었어요.  하룻밤을 여관에서 뜬눈으로 새웠지요.  이튿날 아침, 문득 그이의 친한 친구 한 분이 도청(道廳)에 계시다는 것이 생각나서, 그분을 찾아 나섰지요.  가는 길에 혹시나 하고 정거장(停車場)에 들러 봤더니……."   매표구(賣票口) 앞에 늘어선 줄 속에 남편이 서 있었다.  아내는 너무 반갑고 원망(怨望)스러워 말이 나오지 않았다.   트럭에다 사과를 싣고 춘천으로 떠난 남편은, 가는 길에 사람을 몇 태웠다고 했다.  그들이 사과 가마니를 깔고 앉는 바람에 사과가 상해서 제 값을 받을 수 없었다.  남편은 도저히 손해(損害)를 보아서는 안 될 처지(處地)였기에 친구의 집에 기숙(寄宿)을 하면서, 시장 옆에 자리를 구해 사과 소매(小賣)를 시작했다.  그래서, 어젯밤 늦게서야 겨우 다 팔 수 있었다는 것이다.  전보(電報)도 옳게 제 구실을 하지 못하던 8·15 직후였으니…….   함께 춘천을 떠나 서울로 향하는 차 속에서 남편은 아내의 손을 꼭 쥐었다.  그 때만 해도 세 시간 남아 걸리던 경춘선(京春線), 남편은 한 번도 그 손을 놓지 않았다.  아내는 한 손을 맡긴 채 너무도 행복해서 그저 황홀에 잠길 뿐이었다.

   그 남편은 그러나 6·25 때 죽었다고 한다.  여인은 어린 자녀(子女)들을 이끌고 모진 세파(世波)와 싸우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제 아이들도 다 커서 대학엘 다니고 있으니, 그이에게 조금은 면목(面目)이 선 것도 같아요.  제가 지금까지 살아 올 수 있었던 것은, 춘천서 서울까지 제 손을 놓지 않았던 그이의 손길, 그것 때문일지도 모르지요."   여인은 조용히 웃으면서 이렇게 말을 맺었다.

   지난날의 가난은 잊지 않는 게 좋겠다.  더구나 그 속에 빛나던 사랑만은 잊지 말아야겠다.  "행복은 반드시 부(富)와 일치(一致)하진 않는다"는 말은 결코 진부(陳腐)한 일 편(一片)의 경구(警句)만은 아니다.

  가족들의 생계를 위해 고전하며 밤늦도록 술잔을 기울이는 가장과 "내가 결혼만 안 했어도 이렇게 살지는 않는다"고 한탄하는 주부, 그런 엄마의 눈치를 보며 방으로 들어가 무엇 때문에 대학을 가야되는 것인지 밤새 고민하는 자녀.  사람들은 도대체 무엇 때문에 돈이 있어도 매일 싼 점심을 먹고, 팔자를 고치기엔 너무 적은 액수의 월급을 벌자고 허리띠를 졸라매며, 사돈에 팔촌까지 이구동성 말리는 일에 굳이 뛰어들어 사서 고생을 하고, 늦잠의 달콤함과 스트레스의 악영향을 무시하고 일에 매달리는 걸까요? 고난이 주는 불편과 피곤,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그 모든 것을 기꺼이 감수하려는 사람들의 의지는 어디서 생겨나는 걸까요?

  실직한 남편을 뒤로 하고 아침을 굶은 채로 출근하는 아내, 고구마로 아침밥을 대신하는 가난한 시인, 번번이 사업에 실패하고 사과장수가 되어 춘천으로 떠난 남편과 그를 찾아 나선 아내는, 인간사 행불행이 우리 삶에 다가오는 천(千)의 얼굴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불쑥불쑥 떠오르는 이미지들입니다.

  김소운의 글이 아직까지도 기억에 살아 숨 쉬는 것은 고생의 억센 겉모습 속에 그들이 고이 간직했던 "고생의 이유"가 용기와 교훈의 빛을 발하기 때문입니다.  그 때문에 새벽 한 시가 넘은 시간에 난장판이 된 책상 앞에서 손톱을 뜯어가며 이 글을 써내려가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라이프 코치 이한미 ICC CTP (T: 2647 8703)
veronica@coaching-zone.com
www.coaching-zone.com
0
스탬포드2
홍콩 미술 여행
홍콩영화 향유기
굽네홍콩_GoobneKK
신세계
NRG_TAEKWONDO KOREA
유니월드gif
aci월드와이드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