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독일중앙은행도 외환보유고에 위안화 포함키로 15일(월), 아시아금융포럼에서 밝혀...국제화로 가는 위안화
  • 위클리홍콩 기자
  • 등록 2018-01-18 12:24:30
기사수정
  • 독일연방은행 분데스방크(Bundesbank) “세계 2위 경제대국 중국 영향력 확대”...지난해 유럽중앙은행도 위안화 외환보유고 포함
독일중앙은행인 분데스방크(Bundesbank)가 중국 위안(元)화, 일명 인민폐(人民幣,RMB)를 외환보유고 운용통화로 포함시키기로 했다. 국제화를 추구하는 위안화에는 또 하나의 디딤돌이 될 전망이다.

세계적인 경제지 파이낸셜타임스(The Financial Times)는 안드레아스 돔브레트(Andreas Dombert) 분데스방크 이사가 15일(월) 홍콩에서 열린 ‘아시아금융포럼’(AFF 2018)에서 이런 방침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분데스방크의 이런 방침은 지난해 유럽중앙은행(ECB)이 위안화 5억유로(6494억원)어치를 외환보유고에 포함시킨 것에 이어 발표된 것이다. 

돔브레트 이사는 “세계 2위 경제 대국 중국의 정책적 주도권이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중국과의 무역 관계는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유라시아 국가들을 연결한다는 중국의 일대일로 사업이 위안화의 위상을 강화시킬 것이라고도 했다. 

미국 블룸버그뉴스(Bloomberg News)는 분데스방크의 이번 조처는 금융 허브 프랑크푸르트를 유럽의 위안화 거래 중심지로 키우려는 목적이 있다고 풀이했다.

유럽 쪽의 잇따른 조처로 위안화의 국제 결제통화와 준비통화로서의 위상을 강화시키려는 중국 쪽의 움직임은 더 힘을 얻게 됐다. 

중국은 세계 1위 무역국으로 부상했으나 달러화의 공고한 기축통화 지위가 자국에 불리한 상황을 강요한다고 판단하고 위안화 국제화를 추구해 왔다. 

국제통화기금(IMF)은 2016년 위안화를 국제준비통화 시스템인 특별인출권(SDR) 바스켓에 편입시켰다.

위안화 국제화는 갈 길이 먼 것도 현실이다. 지난해 11월 국제 결제에서 위안화 사용 비중은 1.8%로 6위를 차지했는데, 오히려 2년 전(2.3%, 5위)보다 낮아진 것이다. 

최근에는 중국 당국이 미국 국채의 매입 축소나 중단을 검토한다는 보도가 나와 통화 갈등이 벌어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됐다. 위안화는 지난해 달러에 대해 6.8% 절상됐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스탬포드2
홍콩 미술 여행
홍콩영화 향유기
굽네홍콩_GoobneKK
신세계
NRG_TAEKWONDO KOREA
유니월드gif
aci월드와이드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