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복하고 기쁜 날~ 생일축하, 결혼축하, 개업축하 등 각종 축하의 자리에 케이크가 빠지지 않는다. 옛날 우리나라에서는 각종 떡으로 이웃들과 나누어 먹는 풍습이 있..
행복하고 기쁜 날~
생일축하, 결혼축하, 개업축하 등 각종 축하의 자리에 케이크가 빠지지 않는다.
옛날 우리나라에서는 각종 떡으로 이웃들과 나누어 먹는 풍습이 있다.
한 예로, 돌떡에는 백설기, 수수팥떡, 무지개떡 등으로 각각의 떡이 가지고 있는 의미로 아기탄생 1주년을 축하하고 있다. 현대사회의 축하자리에는 아름답게 장식된 케이크가 보편적이다.
케이크(cake)는 달걀과 밀가루, 설탕을 주재료로 하여 특정한 모양으로 구운 감미로운 디저트이다. 케이크는 곡물의 분말(주로 밀가루), 결착제 (달걀과 밀가루에 포함된 글루텐), 지방(식물성 기름, 버터, 라드 등), 수분(물, 우유, 버터밀크, 과일 퓌레 등), 팽창제(효모, 베이킹 소다, 베이킹파우더 등)을 배합하여 만든다. 서양에서는 구운 것을 일반적으로 케이크라고 한다.
케이크는 빵의 변형이라고 할 수 있으며, 간단하거나 반대로 정교하게 만든다. 페이스트리, 머랭, 커스터드 및 파이와 같은 디저트들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케이크의 기원을 신석기 시대부터 찾기도 하지만 베이킹 파우더와 백설탕을 이용해 구워 낸 현대적 개념의 케이크는 19C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한국에는 구한말 선교사에 의해 처음 케이크와 빵의 개념이 소개되었다. 결혼식과 생일 등 기념일에 빠지지 않는 케이크는 그 중요성만큼이나 나라별, 상황별로 다양한 전통과 풍습이 존재한다.
케이크 서양근원생일 케이크의 기원은 계절의 주기와 관련이 있으며 신에게 감사하는 마음이 담겨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원형 또는 달 모양의 꿀 케이크를 만들어 그것을 달의 여신 인 아르테미스 신에게 바쳤다. 중세 시대의 독일인은 달달한 반죽으로 아기 예수님모양의 케이크를 만들어 헝겊에 싸고 예수님의 탄생을 기념했다. 고대 켈트족은 태양을 축하하기 위해 벨 탄 (Beltane) 케이크를 구웠다. Beltane 축제에서
켈트는 태양의 움직임을 모방하기 위해 케이크를 언덕 위로 굴렸다. 이것은 태양의 지속적인 움직임을 상징하는 것이었다.
고대 로마인은 세 가지 종류의 생일을 축하했다 : 친구와 가족 간의 사적인 축하, 그들의 신들의 도시와 사원의 생일, 그리고 황실 가족 구성원들의 과거와 현재 황제들의 생일을 축하했다.
케이크의 동부근원
한국을 비롯한 동양권에서는 케이크의 기원이라 할 만한 음식을 찾아보기 힘들다. 밀가루가 주식인 유럽에서 일찍이 케이크 문화가 발달한 것과 달리 한국과 중국, 일본 등의 동양에서는 쌀을 주식으로 해왔기 때문이다. 한국에 케이크나 빵의 개념이 소개된 것은 일제 강점기부터이다. 중국인은 달의 계절주기를 존중하고 달의 여신 Heng O을 기리기 위해 케이크를 만들었다. 양초 대신에 Heng O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현대 중국 문화에서는 여전히 8 월 15 일 하베스트 문 축제에서 쌀로 달모양의 케이크를 만들어 먹는다.
케이크의 모양
케이크의 둥글기는 삶의 주기적 본성을 상징한다. 계절과 새해의 시작을 하나로 잇는다는 상징이기도 하다. 케이크의 둥근 모양은 달이나 태양을 상징했다.
케이크의 모양을 위한 또 다른 이유는 당시 베이킹의 기술에서 나왔다. 고대에는 빵과 케이크가 손으로 만들어졌다. 둥근 구슬과 만들어지고 유리 또는 얕은 받침대가 케이크의 기본 모양을 형성했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제 케이크는 각종 모양과 크기로 제작되고 있다.
케이크의 전통
농업 사회는 그들의 신들에 대한 감사와 예배를 상징하는 토양에서 곡물과 과일을 사용하여 케이크를 준비했다. 예를 들어, 영어는 캐러웨이 씨를 사용하여 케이크를 만들었다. 캐러 웨이 씨앗은 추수 동안 뿌려진 밀 곡식을 상징한다. 이 씨앗은 노동자들을 사계절 내내 강화시킨 것으로 믿었으며 수확의 기쁨을 경축하기 위해 추수 축제 기간에 케이크를 구워 먹었다.
케이크 빵은 밀가루, 설탕, 계란, 베이킹 파우더, 버터 등이 기본 재료로 구성된 반죽을 모형 틀에 붓고 오븐에 구워 만드는 데 이때 만들려는 케이크 종류에 따라 반죽 재료의 구성 비율이나 새로운 재료가 추가되고 굽는 방법도 달라진다. 구워진 빵에 생크림 등의 재료를 발라 케이크 표면을 매끄럽게 마무리하는 아이싱 과정과 여러 모양의 장식물로 개성 있게 꾸미는 데커레이션 과정을 거쳐 맛과 형태가 다른 다양한 종류의 케이크를 만든다. 최근에는 아이스크림 케이크, 떡 케이크, 슈가크래프트 케이크 등 주재료로 밀가루가 아닌 다른 재료를 사용하여 만든 새로운 개념의 케이크가 등장하였다.
2019년도에는 온 세상 사람들에게 달콤한 케이크처럼~~동글동한 케이크처럼
동화 같은 아름다운 새해가 되기를 소망한다.(위클리홍콩 weeklyhk@hanmail.net)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클리홍콩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