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68호, 4월4일]
누구나 자신이 자주 이용하는 버스를 제외하고는 다른 버스 노선이나 번호 따위를 일일이 기억하고 싶어 하지 않는..
[제168호, 4월4일]
누구나 자신이 자주 이용하는 버스를 제외하고는 다른 버스 노선이나 번호 따위를 일일이 기억하고 싶어 하지 않는다. 홍콩이란 곳이 아파트 출입문, 사무실 출입구, 컴퓨터 암호, 은행카드 비밀번호 등 집을 나서기 시작해서 돌아올 때 까지 번호와의 싸움이다보니 추가로 번호 하나 더 외운다는 자체가 오버로딩이다.
그러나 센트럴이나 침사초이 등 수많은 버스 노선들이 뒤엉켜 다니는 곳에서 줄지어 달려오는 버스에 올라탈 때 버스 번호의 패턴을 알고 있으면 큰 실수는 줄어든다. 또 비슷한 구간을 달리는 버스라면 올라타는 곳을 기준으로 가야할 여정이 길게 남아있는 버스보다 종점에 가까운 버스의 운임이 싸다.
홍콩의 버스 번호를 보면서 많은 분들도 이미 눈치를 채서 알겠지만 일정한 규칙이 있다. 같은 노선을 밤에 달리는 번호에는 'N'자가 붙는다던가 하는 방식...
1. 기억해 두면 좋은 버스 번호나 기호
공통
- 100번대 : 해저터널(홍함~코스웨이베이)을 통과하는 노선
- 300번대 : 어느 쪽이든 해저 터널을 통과하는 노선
- 600번대 : 동구 해저 터널(람틴~쿼리베이)을 통과하는 노선
- 900번대 : 서구 해저 터널(서구룡~사잉뿐)을 통과하는 노선
- 번호 뒤의 A,B,C...P...S 등 기호 : 단순한 구분 기호이다. 따라서 2A와 2B가 유사성이 있는 것은 아니다.
- 번호 뒤의 X : 급행버스로 많은 정류장 중 중요한 일부분만 정차한 후 직행으로 달린다. 장거리의 경우 자동차 전용도로로 고속 질주한다.
- 번호 뒤의 M : 지하철(MTR) 역을 기점 또는 종점으로 하는 노선. 다만 요즘에는 노선의 변화가 생겨 현재는 그다지 의미가 없고, 단순한 노선 구분 번호라고 생각해도 지장 없다.
- 번호 앞의 N : 올나잇 노선. 심야에 달리는 버스. 일 예로, 8과 N8은 같은 루트이지만 8은 아침부터 밤까지, N8은 심야부터 이른 아침까지. 운임은 N8이 높다.
- 번호 앞의 A : 공항 버스
- 번호 앞의 E : 공항 발착하는 보통 노선버스
- 번호 앞의 R : 홍콩 디즈니랜드 발착 버스
- 번호 앞의 S : 공항지역의 단거리 노선
구룡버스 (KMB)
- 1~29, 203~224, B1 : 구룡지역 내를 오가는 버스로, 노선 길이가 짧은 버스
- 30~40 : 첸완, 콰이청, 청사완 등 신계남부이나 그곳으로터 구룡지역까지
- 40X ,41~49 ,73X : 칭이와 신계남부, 구룡, 신구룡을 묶는 노선, 성문터널을 통과해 사틴, 마온산과 신계 남부 또는 칭이를 묶는 노선
- 51 : 캄틴과 첸완을 묶는 라인
- 52~68A : 신계중부와 서부를 잇는 로컬 노선.신계서부 지구와 신계남부나 구룡을 툰문공로 또는 청산공로의 남서해안을 돌며 묶는 노선
- 68M~69X : 타이람터널(3호공로)를 통과하는 노선
- 70~99 70번 이상 : 신계 중동부에 관련되지만 일일이 정리하기는 어렵다.
- 91~93K : 구룡, 신구룡과 신계동부 또는 쳥관오 지구를 묶는 노선
- 번호 뒤에 붙은 K : 구광철로(KCR) 역을 기점 또는 종점으로 하는 노선.
New World First Bus(新巴)
700번대 : 구룡, 신계지구 상호간 발착 노선
* 구광철로를 연결하는 버스는 번호전에 K가 붙는다. 구광철로공사가 운영하는 것으로, KCR 및LRT를 연결한다.
2. 홍콩의 버스회사
九巴(九龍汽車) KMB(Kowloon Motor Bus) : 구룡, 신계지 노선
1933년 설립. 홍콩의 버스하면 가장 먼저 떠올릴 수 있는 대표적인 회사가 KMB다. 주로 구룡과 신계지를 연결하는데, 버스 대수도 많아 확실히 홍콩을 대표하는 버스 회사다.
城巴 City Bus : 홍콩섬, 공항 노선
1990년대에 등장한 새로운 버스회사. 선명한 노란색 차체 페인트로 시민의 시선을 사로잡으며 서비스를 향상시켜 단번에 노선망을 확대했다.
공항에서 시내 중심지로 향하는 버스도 시티버스의 단거리용 버스「Cityflyer」 의 독무대가 됐다.
新巴 NWFB(New World First Bus) : 홍콩섬, 구룡 운항노선
홍콩섬을 독점하던 CMB(中巴)의 노선과 직원을 인수한 회사로 홍콩신세계(香港新世界)와 영국 Firstbus의 합작품이다. 1998년 9월부터 운행을 개시해 새로운 버스와 에어컨 버스를 투입시키며 노선버스의 서비스 개선에 노력을 지속해 왔다. CMB를 계승해 영업구간은 홍콩섬 중심이었지만 요즘에는 구룡지역으로도 진출했다.
龍運巴士 : 공항~신계 노선
KMB의 그룹회사. 첵랍콕 공항의 개항에 맞추어 설립돼 공항과 신계 각지를 묶는 단거리용 버스 운행.
오렌지색과 흰색 차체에는 「Airbus 通天巴士」라고 쓰여 있어 옛 카이탁공항 시대의 단거리용 버스를 떠올리게 한다.
新大嶼山巴士 NLB(New Lantau bus) : 대서산(大嶼山)
란타오 섬 내를 한정해 달리는 로컬 버스. 첵랍콕 공항의 개항으로 노선은 큰 폭으로 확대·변경이 되었다.
九廣鐵路 KCRC(Kowloon Canton Raiway) : 구룡과 신계
구광철로는 철도 회사이지만 홍콩 내에서 단지나 번화가 등을 묶는 셔틀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옥토퍼스를 이용해 구광 동철, 서철, 경전철 등 역으로 연결하는 노선을 타면 버스가 무료가 되는 경우도 있다.
珀麗灣客運 Park Island Transport : 마완 빡라완(馬灣珀麗灣)
란타오섬과 칭이 사이에 있는 작은 섬 마완(馬灣). 공항과 시내를 연결하는 8호 간선의 인터체인지가 생겨 최근 급격하게 개발되었다. 새롭게 개발된 주택 단지와 칭이역이나 MTR 콰이펑을 묶는 버스를 운행한다. 마완 빡라이완~칭이 버스정류장 노선.
愉景灣巴士 Discovery Bus : 대서산 유경만(大嶼山愉景灣)
란타오섬(대서산) 동부의 리조트풍 주택 단지인 유경만(위겡만, Discovery Bay)의 지역 내를 달리는 노선버스. 이 부분까지 알고 있다면 당신은 홍콩 버스의 통. 최근엔 공항과 통청까지 노선을 확장했다.
中巴(中華汽車) CMB(China Motor Bus) : 홍콩섬
홍콩섬을 영원한 독점 상태로 운행해 왔지만 정부의 면허 갱신을 받지 못해 1998년 영업의 종말을 맞았다. 물색과 엷은 황색의 차체가 그립다.
ⓒ위클리홍콩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