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홍콩생활 생생리포트 - 한방약 제대로 알기
  • 위클리홍콩 기자
  • 등록 2007-11-01 19:20:28
기사수정
  • [제196호, 11월 2일]   ‘홍콩’하면 100만 불짜리 야경, 혼돈의 도시, 인종시장, 바쁜 생활, 마천루, 드센 홍콩여자... 등이..
[제196호, 11월 2일]

  ‘홍콩’하면 100만 불짜리 야경, 혼돈의 도시, 인종시장, 바쁜 생활, 마천루, 드센 홍콩여자... 등이 차례로 떠오른다.  그러나 우리 혹은 홍콩사람들의 생활 깊숙이 들어와 있는 것들에 대해 나열해 보면 한자, 한방약, 한의사, 안마, 중국... 등등이 아닐까.

  특히 한뱡약은 슈퍼에 가도 진열장을 가득 메우고 있고, 만닝이나 왓슨스 하물며 편의점에 이르기까지 한방약이 없는 곳은 찾아보기조차 힘들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화장품에서부터 일반 약에 이르기까지 한방약이 들어갔다고 하면 왠지 더 효과가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드는데,  오늘은 홍콩 사람들이 신뢰하고 즐겨 찾는 한방약에 대해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본다.

  홍콩사람들은 음식을 할 때 여러 가지 한방약을 자주 이용하는데, 특히 체질적인 질환은 한방약에 의지하고 있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한방약은 그리 친숙한 것도 아니고 또 한국에서  중금속이 기준 수치를 넘었다는 등의 잦은 보도로 한방약을 은근히 터부시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그러나 아래 소개하는 한방약들은 홍콩사람들이 오랫동안 신뢰해오고 즐겨먹는 것으로, 알아 두면 홍콩생활에 꽤 유익한 정보가 될 것이다.

  한국에 잠시 방문차 들를 때도 날로 허약해지시는 나이 드신 어른들에게 이러한 한방약을 선물하면 매우 좋아한다.  한방약을 건네주면서 어떤 효과가 있는지도 설명해 드리면 금상첨화.

  필자가 아는 한 홍콩 교민은 모친이 다리의 관절염이 심해져 계단도 오를 수 없게 되었다고 한다. 온갖 치료를 다 시도해 봤지만 상태는 호전되지 않았고, 대학병원에 가서 침구, 접골, 전기 치료 응 그야말로 온갖 방법을 다 동원해 봤단다. 그 때 친구가 홍콩에서 가져온 관절염에 좋다는 한방약을 복용하고 반년 정도 후에 자전거를 탈 수 있을 정도로까지 회복했다고 한다.

  그렇지만 한방약은 효과를 쉽게 볼 수 있는 체질이 있고, 효과를 보기 힘든 체질이 있다고 한다.  그분은 다행히 효과를 보기 쉬운 체질이었는 듯 하다.

  또 한방약은 아픈 곳이 금세 낫는 등의 즉효성은 거의 없는 것 같다.  다만 서서히 체질을 개선하며 효과를 보인다.

  그렇지만 임산부는 기본적으로 한방약은 엄금. 어쨌든 설명서를 잘 읽고 나서 이용하고 싶은 분들은 이용해 보자.

  또 한방약은 서양약과 달리 계속해 복용하면서 체질개선이 주목적이니까 한 번 드시기 시작했다면 가능한 한 장기적으로 복용하는 게 중요하다.


■ 편자황(片仔癀)



  무려 1555년 전부터 지금까지 간장에 좋은 한방약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대단한 약이다.  현대의학에는 약이 없는 간염과 간경화증을 이 약이 치료한 사례가 있어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도 알려지게 되었다.   항생제로도 안 듣는 모든 염증에도 특효를 보이며, 홍콩이나 중국을 여행하는 사람이면 으레 우황청심원과 함께 사가지고 오는 약이 되었다.

  원래 편자황은 중국 창주의 어느 한의원에 전해 내려오던 비방인데 간염과 간경화를 치료할 수 있어 외화획득을 목적으로 상품화 하였다.
  편자황은 간염 외에도 항생제로 치료되지 않는 모든 종류의 염증을 치료할 수 있는데, 잘 낫지 않는 중이염과 이름모를 종기, 치료되지 않는 인후염에도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 백화유(白花油)



  모든 홍콩 가정에 한 두병씩은 갖춰놓은 가정상비약이자 가방 안에 꼭 챙겨 다니는 생활필수품 백화유.  홍콩에 오래 산 교민들은 가방에까지 넣고 다니지는 않아도 가정에는 상비약으로 꼭 갖춰놓는다.

  홍콩 사람들은 목이 아프면 목에, 머리가 아프면 관자놀이에, 어깨가 결리면 어깨에, 벌레에 물리면 그 자리에, 베인 상처가 있다면 그곳에도 여지없이 백화를 바른다. 마치 만병통치약과 같은 백화유는 가격도 12명이 한 박스로 약 HK$200이다.  
  덧붙여 백화유가 자랑하는 효능을 좀더 나열하자면 다음과 같다.

  감기, 인플루엔자, 두통, 신경통, 소아 복통, 천식, 관절염, 복통, 타박상, 치통, 가래, 멀미, 화상, 종기, 벌레물린데, 더위를 먹었을 때, 식중독으로 인한 두드러기, 가려움증, 칼에 베었을 때, 설사 등등.

  필자는 한국에서 온 손님들이 선물을 고르지 못하고 있을 때 백화유를 권한다.  가격도 저렴하고 효과 좋고 안전한 백화유는 부담 없는 사람들에게 부담 없이 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이다.  

   - 사용법: 두통, 멀미, 감기기운 등에는 관자놀이부위에, 복통일 경우에는 배꼽둘레에 바른다.
가렵거나 칼에 베인 부분에 직접 일정량을 바른다.  2세 이하의 유아에게 사용을 금한다.

■ 우황청심환(牛黄清心丸)



  스트레스를 해소해 주고 정신을 안정시켜주는 한방약으로서는 가장 유명한 이 한방약도 벌써 300년이라는 역사를 가지고 있다.  
  신경질적인 사람이나 초조해하는 사람,  머리가 어지럽거나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중풍으로 말을 할 수 없거나, 기절. 해열, 현기증, 신경쇠약, 중풍징조, 고혈압, 정신쇠약 등에 효능을 발휘한다.
  한국에서 구입하면 홍콩의 10배 정도 하여 한국으로 가는 사람들이 즐겨 찾는 선물중의 하나.  
  이 한방약은 그 유명세 때문에 여러 회사에서 만들고 있고, 가격도 다양하지만 역시 우황청심환을 세상에 처음 내보인 북경동인당(北京同仁堂)의 제품이 가장 믿을 만 하다.


■ 전칠편(田七片)



  전칠(田七)은 식물의 겉모습이 인삼과 비슷하여 중국인삼이라도 하며, 인삼과 같은 과의 식물이다.

인삼은 색깔이 노랗기 때문에 비위에 들어가서  비장(脾臟)과 음식물을 소화시키는 위장(胃臟)을 튼튼하게 하나 전칠은 색깔이 검붉기 때문에 간에 들어가서 간을 튼튼하게 한다.

  타박상에 죽은피를 제거하고, 좋은 피에 대해서는 지혈작용이 있어서 전쟁터에서는 금과도 바꾸지 않는다고 󰡐금불환(金不換)󰡑이라는 별명이 있다.

  또 전칠에 포함된 케톤과 사포닌의 일종에는 혈액중의 중성 지방과 콜레스테롤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살찐 사람이 살을 빼는 용도 보다는 신진대사가 높아지고, 피하지방이 붙기 어려운 체질로  개선된다.

  혈액중의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기능이 강하고, 혈당치를 내리는 기능도 있다고 전해진다.  자양강장의 한방약으로 유명. 최근에는 아토피성 피부염에도 효과가 있다고 보고 돼 있다.  

■ 백봉환(白鳳丸)



  북경동인당(北京同仁堂)의 10대 유명약품 중 하나인 백봉환은 여성의 고민거리인 생리통이나 출산 후유증을 해소해 주는 기쁜 아군.  생리통에는 생리가 시작되기 전부터 생리통이 오는 혈액순환 불량 타입과 마지막 끝에 통증이 오는 영양 부족 타입이 있다고 한다.  백봉환은 혈액입자를 고르게 하고 순환을 촉진시켜 영공공급이 원활히 될 수 있는  한방약을 주성분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 대활락단(大活絡丹)



  대단한 종류의 생약이 혼합되고 합쳐진 한방약이다.
  혈압을 낮추고 만성 관절 류머티즘, 각종 관절의 붓기나 통증, 손발이 저리거나 경직된데, 안면 신경 마비, 언어 장애 등의 중풍 후유증 등에 효능이 있다고 한다.
  뇌혈관 장해에 의한 반신불수의 치료에도 사용되고 있고, 효과도 어느 정도 보고 있다고 입증됐다고 한다.

  위에서 소개한 한방약들은 홍콩에 매장을 갖고 있는 북경동인당이나 만닝이나 왓슨스, 중국백화점 유화, DFS 갤러리아 등에서 구입할 수 있다.  그러나 가격이 제각각 다르니 몇 군데 다녀보고 가격을 비교해 보길 바란다.  

* 북경동인당홍콩
- 웹사이트 : http://www.bjtongrentang.biz.com.hk/
- 주소 : Rm 1008, 10/F., West Tower, Shun Tak Centre,
         168-200 Connaught Rd, Sheung Wan, Hong Kong.
- 전화 : 2739 2888


  한방약들을 소개하고 효능에 대해 나열하다 보니 갑자기 우황청심환을 하나 사서 입에 넣고 싶어진다.  스트레스를 해소해주고, 정신을 안정시켜준다고 하니 말이다.

<로사 권 rosa@weeklyhk.com>

* 위클리홍콩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7-11-13 03:56)
0
이태원_250109
홍콩 미술 여행
본가_2024
홍콩영화 향유기
굽네홍콩_GoobneKK
NRG_TAEKWONDO KOREA
유니월드gif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