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홍콩의 교육과 국제학교 27 - 홍콩의 교육 문제들
  • 위클리홍콩 기자
  • 등록 2007-11-23 12:36:03
기사수정
  • [199호, 11월 23일] 3. 저출산 문제   저출산 고령화 문제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나라들의 문제다. &nb..
[199호, 11월 23일]


3. 저출산 문제

  저출산 고령화 문제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나라들의 문제다.  홍콩도 예외는 아니다.  2004년 유치원부터 불기 시작한 저출산의 여파는 지금 초등학교 저학년을 거쳐 중등학교의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

  저출산으로 인한 학생 수의 격감으로 교사들은 직업 안정성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

  필자가 홍콩의 중등학교 교장단 협의회에 참석하여 보면 대부분의 교장 들이 학생 수 감소를 걱정하고 있었으며 심각한 문제라고 말했다.

  우선 교육 당국은 과원교사 처리 문제부터 시작해서 학교 폐쇄 여부 까지 많은 문제가 봉착해 있다.

홍콩의 저출산 문제는 2008년부터 학생 수가 급격하게 떨어진다는 데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교육당국은 학교 여유 시설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교육개혁을 통해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하고 있다.

  교사들은 학생 수 감소 문제 대해 학급당 학생 수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EMB에서 제시한 초등학교 표준 학급당 학생 수는 37명이며 학급 당 학생 수가 23명 이하일 경우는 학급을 없애야 한다는 가이드라인을 내놓고 있다.

  교장들도 학급당 학생 수를 줄이라는 요구를 하고 있다.  2004년 9월 초등 지역 교장단 협의회에서 EMB에 강력하게 요구하고 나섰다.

  학급당 학생 수를 줄이면 과원 교사 문제가 해결된다는 주장의 요지다. 교육 당국의 입장에 보면 학급당 학생 수를 줄이려면 재정확보가 관건인데 교육예산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고 호소하고 있다.

  저출산 문제는 우리나라도 이미 겪고 있는 문제이므로 문제 해결 과정에 시사점이 많이 있을 수 있다.

  홍콩은 국제도시이므로 경기 부양을 통해 외국인들을 많이 오도록 하여 학교를 외국인 학생들이 다닐 수 있는 학교(예를 들면 DSS 학교)의 수를 늘려서 감소하고 있는 학생 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 내용은 지난 2월 한국으로 귀임한 KIS 김석수 교장선생님이 발간한  '홍콩의 교육과 국제학교' 책자에서 발췌했음.>
0
이태원_250109
홍콩 미술 여행
본가_2024
홍콩영화 향유기
굽네홍콩_GoobneKK
NRG_TAEKWONDO KOREA
유니월드gif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