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교육제도
대학의 역사는 중국 주(周)나라 때의 국학기관이나 BC 387년경에 플라톤이 설립한 아카데미 등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 학부(學府) 개념으로서의 세계 최초의 대학은 지난 859년 모로코에서 세워진 University of Al-Karaouine이다.
그러나 현대적 의미의 대학은 중세기 말경에 유럽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됐는데, 유럽 최초의 대학은 1088년에 설립된 이태리의 University of Bologna를 꼽을 수 있다. 특히 영국의 University of Oxford(1167년)와 University of Cambridge(1209년)는 초기 대학 가운데의 가장 대표적인 형태로 오늘날까지 그 역사와 전통이 전해져 오면서 세계적으로 그 영향을 끼치고 있다. 두 학교는 현재 세계 제2위와 제3위의 대학으로 각각 꼽히고 있다.
이렇듯 영국은 세계적으로 가장 오래되고 유명한 교육기관이 자리하고 있는 곳이며 또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변화하는 세계에 새롭게 개선되는 교육을 실현하고 있는 본 고장이기도 하다. 따라서 학문의 본고장답게 실제 교육은 과목수는 적으나 필요한 분야에 대해서는 심도 깊은 교육을 추구하며 또 최근 들어서는 권위적이고 보수적인 영국의 교육정책을 일신하여 외국 학생들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홍보 활동을 하는 등 우수한 외국 유학생을 유치하고자 하는 노력들을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들은 상하이에서 해마다 개최되는 교육전시회에서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데, 매회 전시회에서 영국대학들의 참가수는 전체 참가학교의 25%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영국의 교육제도를 보면 영국은 잉글랜드(England), 북아일랜드(Northern Ireland) 및 스코틀랜드(Scotland)와 웨일스(Wales)로 나뉘어 서로 다른 교육시스템을 갖고 있으며 그 중 잉글랜드와 북아일랜드 및 웨일스의 교육시스템은 아주 흡사하나 스코틀랜드는 거의 다른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관리 및 운영되고 있다.
잉글랜드, 웨일스 및 북아일랜드에서의 초등학교 교육은 5살부터 시작되지만 스코틀랜드에서는 4세 6개월에서부터 5세 6개월까지 모두 초등학교 입학이 가능하다. 또 스코틀랜드를 제외한 기타 지역의 국공립학교(Maintained school)에서는 영국정부에서 정한 국가커리큘럼(National Curriculum)에 따르는 반면, 사립학교(Independent school)에서는 자체로 기준을 정하고 커리큘럼을 개설하곤 한다. 그리고 스코틀랜드의 경우 모든 초등학교가 정부의 가이드라인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잉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의 의무교육은 5세부터 시작되어 초등교육(Primary education)은 4세부터 7세까지의 Infant와 7세부터 11세까지의 Junior로 분류된다. 중등교육(Secondary education)은 잉글랜드의 경우 11세부터 시작되어 종합중등학교(Comprehensive school)나 대학 진학준비를 위한 그래머스쿨(Grammar school), 사립학교(Independent School), 혹은 중고등학교가 함께 개설된 일부 지방자치학교(Local Authority school)로 입학을 한다. 스코틀랜드에서는 모든 지방자치학교는 곧 종합중등학교로 인정되고 있다.
14세에서 16세가 되면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는 중등교육 자격수료고사인 GCSE(General Certificate of Secondary Education) 시험에 참가하며 이를 위해선 영어, 수학, 과학 및 종교교육에 관련해 공부를 해야 한다. 특히 GCSE 코스 언어에 포함되는 프랑스어, 스페인어, 이태리어, 러시아어, 폴란드어, 펀잡어(Panjabi), 우르두어(Urdu), 구자라트어(Gujarati) 중 한가지를 알면 14세가 되기 전에도 시험을 치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또 나이에 상관없이 GCSE시험에서 떨어졌거나 고등교육(Post-secondary)을 받고자 하는 학생은 전문대(Further Education Colleges)에 입학 하거나 혹은 직업전문과정인 National Vocational Qualifications 과정을 밟을 수 있다.
반면 스코틀랜드의 경우 7년간의 초등교육과정을 이수하게 되고 중학교 과정은 4년으로 졸업 시 Standard Grades라는 시험에 참가하게 되며 그 후의 5th year과 6th year은 대학교 입학이나 혹은 진로를 위한 준비과정으로 개인의 실력에 따라 마지막 6번째 학기의 수업시간이 결정된다. Standard Grades 시험에서 떨어져 졸업자격증을 따지 못한 경우 Scottish Vocational Qualifications 혹은 National Qualifications 등 실업계 쪽으로 입학을 하여 코스를 밟게 된다.
대학 교육과정은 잉글랜드에서는 일반적으로 학부과정은 3년제로 일반학사 학위나 우등학위(Honours degree)를 수여 받게 된다. 또 재학 중 인턴쉽이 가능한 샌드위치 코스(Sandwich course)를 제공하며 학위별 모든 전공은 폭넓은 종합교육보다는 심도 깊은 전문화 교육을 추구하고 있어 1학년부터 세분화된 전공지식을 기초부터 쌓게 된다. 뿐만 아니라 모든 학위는 등급으로 나뉘는데 1등급(First class), 상위 2등급(Upper second class), 하위 2등급(Lower second class), 3등급(Third class) 및 패스(Pass)로 분류된다.
스코틀랜드의 경우 일반 학사학위는 3년제이지만 우등학위의 경우 4년을 이수해야 하며 잉글랜드와 마찬가지로 샌드위치 코스를 제공한다. 하지만 스코틀랜드의 대학교들은 2학년까지는 학부시스템으로 운영되어 세부적으로 전공을 따로 분류하지 않고 통합적인 교육을 받게 된다. 그리고 3학년에 올라가야만 전공 세분화를 실시하여 일반 학사학위과정을 밟을 건지 아니면 우등학위를 딸 것인지를 결정한다. 학위 등급에 있어 스코틀랜드는 잉글랜드와 달리 우등학위에만 등급제를 실시하는데 1등급, 상위 2등급, 하위 2등급, 3등급 및 비등급(Unclassified)으로 분류하곤 한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클리홍콩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