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공안이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를 통한 여론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6일 보도했다.
상해 교통대학의 지난달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판 '트위터'인 시나 웨이보가 정부 서비스를 개설한 후 정부기관과 관리 등 이용자 계정 1만9천곳이 새로 생겼다.
특히 공안 요원들은 5천 개 이상 계정을 개설해 공직자 가운데 가장 열성적으로 웨이보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징 등 일부 지역 공안은 전담 부서를 두고 요원들에게 24시간 웨이보의 글을 감시하고 정부의 입장을 옹호하는 글을 올리도록 하고 있다.
웨이보 전담팀의 임무는 공권력에 대한 여론을 알아내고 호의적인 반응을 끌어내는 것이다.
신문은 한 공안이 자신의 웨이보 계정에, 손녀를 찾는 여성을 돕기 위해 버스 9대를 일일이 따라가서 점검한 동료의 일화를 올려 중국 네티즌의 좋은 반응을 얻은 사례를 소개했다.
공안이 SNS 관리에 적극 나서는 이유는 언론과 표현의 자유가 제한적인 중국에서 웨이보 등 SNS가 여론 형성의 장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3일 중국 지도부의 저우융캉(周永康)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이 경제 문제에 따른 소요가 우려된다며 '사회 관리' 개선을 당부한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신문은 설명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클리홍콩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