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우리에게 익숙한 ‘한국식 중국집’으로 가서 흔히 알고 있는 중국음식들을 통해 중국어를 배워 보도록 할까요?
한국식 중국집이라고 하면 대표 메뉴로 자장면과 짬뽕,탕수육, 깐풍기, 라조기 등등이 생각나는데요, 자장면은 단어 그대로 중국어 炸酱面[zhájiàngmiàn]에서 온 말입니다. 베이징이나 산둥성과 푸지앤성 같은 지역에서도 접할 수 있는 음식인데, 우리나라식 자장면을 생각하고 주문하면 큰 낭패를 보게 될 겁니다. 중국의 자장면은 단어 그대로 ‘장酱(춘장)’을 ‘짜炸(기름에 튀기다)’해서 면에 적당량을 부어 비벼 먹는 것인데 맛은 ‘짜’고 내용물(건더기)도 없어 한국식 자장면과는 많이 다르다는 것을 유의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짬뽕의 어원은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일본어의 챤폰「チャンポン」이라는 단어에서 유래하여 야채, 해산물, 면을 함께 끓인 음식에서 이름을 따왔다는 이야기가 있고, 중국 남방에서는 ‘밥을 먹다’를 ‘食饭섹판’이라고 하는데, 이 단어를 연상해서 일본 사람들이 ‘짬뽕’이라는 단어를 만들어 냈다는 설이 있습니다.
아무튼 중요한 건 한국식 자장면과 짬뽕은 중국 본토식당에서는 비슷한 것을 찾을 수는 있으나 똑같은 것을 찾을 수는 없으니, 자장면, 짬뽕이 드시고 싶은 분은 한국식당을 가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다행히 중국 본토의 식당에서도 ‘탕수육’은 흔히 접할 수가 있습니다. 糖醋肉[tángcùròu] 이라는 단어를 그대로 쓰지는 않지만, 북방에서는 흔히 ‘糖醋里脊[tángcùlǐjǐ]-탕추리지’ 와 ‘锅巴肉[guōbāròu]-꿔바로우’라는 음식을 찾으면 탕수육과 거의 비슷한 음식이 나옵니다. 남방에서는 재료와 만드는 방법이 좀 다르지만 咕鲁肉[gūlǔròu] 혹은 古老肉[gǔlǎoròu]라고 부르는 음식이 탕수육과 비슷합니다.
깐풍기와 라조기는 마지막 뒷자인 ‘기’를 통해서 이 요리가 ‘닭고기’요리임을 유추 할 수가 있습니다. 원래는 ‘鸡[jī-지]’로 발음하는 것이 옳으나, 아마도 중국 사투리가 반영된 듯합니다. ‘깐풍’은 이 음식의 조리방법을 나타내는 뜻인데, ‘깐干[gān]’은 말리다, 조리다 라는 의미가 있고, ‘펑烹[pēng]’은 끊는 물에 살짝 볶아 조리는 중국식 조리방법을 뜻하는데, 즉 닭고기에 소스를 넣어 ‘깐干’하게 조린 음식을 말하는 것입니다. 라조기의 ‘라조’는 고추를 뜻하는 辣椒[làjiāo]에서 온 말입니다. 고추라는 단어가 들어간 것을 통해 매운 요리임을 유추할 수 있겠지요, 참고로 사천요리중에 ‘라즈지(辣子鸡[làzijī])’라는 요리가 있습니다. 이름 때문에 라조기로 오해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라조기와 다르게 소스없이 고추와 함께 튀긴 음식입니다. 필자도 처음엔 라조기인 줄 알고 시켰었는데, 지금은 라조기보다 더 좋아하는 음식이 되었습니다.
 |
한국식 ‘라조기’ 중국식 ‘라즈지(사천요리)’ |
난자완스는 南煎丸子[nánjiānwánzi]를 한국식으로 발음표기 한 것인데, ‘南’은 지방특색을 표기, ‘煎’은 ‘지지다, 굽다’는 조리방법을 말하는 것으로 ‘완자-고기나 생선을 환(丸)모양으로 빚은 것’을 구운 후에 ‘남쪽’특색의 조리방법으로 만든 요리라는 뜻입니다. 완스丸子[wánzi]라는 단어는 ‘완쯔’라고 읽어야 하며, ‘肉丝([ròusī]고기를 채 썬 것)’처럼 중국식당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음식재료이므로 잘 기억해 두시면 유용합니다.
이렇듯 중국요리명을 보면 뒷부분에 재료가 표시되고, 앞부분에는 조리방법 혹은 지방특색의 조리법, 혹은 대명사(사람이름, 지역 등)가 붙어 조합이 됩니다. 소, 돼지, 닭, 생선과 각종 야채 이름을 중국식으로 익히는 것도 기본이지만, 자신이 좋아하는 조리방법을 중국식으로 알아두면 음식을 주문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炒 chǎo 볶다
烤 kǎo 굽다
烧 shāo 볶다, 끓이다
炸 zhá 튀기다
煮 zhǔ 삶다, 끓이다
蒸 zhēng 찌다
煎 jiān 졸이다, 지지다, 부치다
炒饭 chǎofàn 볶음밥
烤羊肉 kǎoyángròu 양고기 구이
烧茄子 shāoqiézi 볶은 가지요리
炸薯条 zháshǔtiáo 감자튀김
煮鸡蛋 zhǔjīdàn 삶은 달걀
蒸饺 zhēngjiǎo 찐만두
煎蛋 jiāndàn 계란 프라이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클리홍콩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