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콩 학교에서 오는 9월부터 시행되는 도덕·국민교육 과목의 교육을 앞두고 발간된 교재가 `정치적 세뇌 교육용'이라는 논란에 휩싸였다. 6일 홍콩 명보(明報)에 ..
홍콩 학교에서 오는 9월부터 시행되는 도덕·국민교육 과목의 교육을 앞두고 발간된 교재가 `정치적 세뇌 교육용'이라는 논란에 휩싸였다.
6일 홍콩 명보(明報)에 따르면 최근 각급 학교에 배부된 '중국 모델'(中國模式)이란 제목의 교육 교재는 34쪽 분량 중 22쪽을 중국 정치체제 설명에 할애하면서 중국 집권세력에 대해 '진보적이고 사심이 없으며 단결하고 있다'고 묘사했다.
이 교재는 또 중국이 관리의 부패와 독직을 방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관리를 교체하고 있고 인격과 능력을 갖춘 사람만을 관리로 쓴다면서 여기에는 사회과학에서 이른바 '이상형'이라고 불리는 것이 내포돼 있다고 적고 있다.
반면 미국의 정당제도에 대해서는 공화·민주 양당이 항상 감정적으로 싸움을 벌여 상대방이 제출한 의안을 부결시킴으로써 민생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기술했다.
이 교재는 지난해 말 홍콩침례대 당대중국연구소가 홍콩 교육국의 지원을 받아 펴낸 것으로, 이 연구소는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홍콩 대표를 지낸 인사가 소장을 맡고 있다고 명보가 전했다.
홍콩 학자와 교사들은 이 교재가 일방적으로 중국에 편향돼 있으며 정치적으로 세뇌하고 있기 때문에 교재로 쓰여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홍콩 중문대 정치행정학 선임강사인 이반 초이는 당의 선전 문구를 기록해 놓은 것 같다고 비판하면서 책의 내용이 전형적인 정치 세뇌로 교육 목적으로 써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홍콩은 올해 9월부터 초등학교에서, 내년부터는 중·고교에서 국민교육을 시범 시행하고 3년 뒤에는 이를 필수 과목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이를 두고 많은 홍콩인은 중국의 적극적 후원 아래 이뤄지는 국민교육 도입이 본토에 비해 자유로운 홍콩의 정체성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출처 : (홍콩=연합뉴스) 황희경 특파원>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클리홍콩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