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홍콩에 계신 한인 여러분, 코트라 홍콩무역관에 근무하는 이주상 과장입니다.
전문가란 특정분야, 자기 주제에 관해서 저지를 수 있는 모든 잘못을 이미 저지른 사람이다. - N.보르 -
특정분야에서 실수와 잘못이 충분히 쌓이면 언젠가는 그 분야의 전문가로 불리게 될 것입니다. 전문가가 되고 싶다면, 더 열심히 찾아서 더 열심히 실수하세요. 더 이상 실수할게 없어질 때 모든 사람들로부터 그 분야의 진정한 전문가로 인정받게 될 것입니다. (출처 : 조영탁의 행복한 경영이야기)
실수를 저지르셨다면, 전문가로 가는 길이라고 생각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이과장의 경제 비타민 스물세 번째 순서로 출발해 보시겠습니다. 출발~!
중국 위안화 19년 내 사상 최고치 기록
미국의 3차 양적 완화 단행과 10년 만에 있을 중국 정권교체에 따른 新경제정책 시행 예상으로 달러대비 위안화 가치가 지난 20여 년이래 최고치를 기록하였습니다. 상하이의 중국 외환 거래 시스템(China Foreign Exchange Trade System) 기준, 미달러/위안 환율은 6.2862로 마감되었습니다. (10.9일, SCMP 보도내용)
전문가들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3차 양적완화에 따른 달러 약세의 영향과 연휴를 앞두고 중국정부가 긴축 정책을 펴 위안 가치가 상승한 것으로 진단하고 있습니다.
또한 Financial Times는 "위안화 약세를 예상한 투자자들은 계속되는 위안화 강세에 당혹스러워하고 있다"고 전하였고 RBS(로열뱅크오브스코틀랜드)의 연구원은 "위안화 가치가 계속 올라가는 것은 중국 정책 당국자들이 중국의 경기 둔화를 업계보다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말하기도 하였습니다.
중추절 연휴기간 홍콩 소매 매출 기대 이하
중추절 황금연휴 동안 중국 관광객들의 소비가 예상에 미치지 못함에 따라 상점들, 특히 금보석판매 업체들의 주식이 하락하였습니다. 10월 8일 귀금속 판매 업체인 록폭(Luk Fook Holdings)은 7.89%, 초우타이폭(Chow Tai Fook)은 6.36% 하락하였고, 이에 항생지수(Hang Seng Index)는 0.89% 하락하였습니다.
홍콩 관광진흥청에 따르면 이번 연휴 동안 홍콩을 방문한 중국 관광객은 96만 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 관광객인 77만 명에 비해 19만 명 증가하였으나 이들의 소비 패턴이 바뀌어 고가의 시계, 보석류 보다는 보다 저렴하고 실용적인 상품들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황금 연휴기간 동안 중국 내 소매판매는 15% 증가한 8천억여 위안을 기록하여 예상치를 상회하였으나 작년 동기대비에는 못 미치는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본 車, 중국 판매 급감
최근 댜오위다오(센카쿠 열도)를 둘러싼 영토갈등으로 일본 자동차 업체들의 중국 내 자동차 판매량이 급감하였습니다. 중국내 일본 승용차 판매는 132만대로 작년 동기대비 0.3% 낮았고 총 자동차 판매는 160만대로 1.8% 낮았습니다.
아울러 중국의 경제 성장 둔화, 연료 가격 상승, 자동차 수요 감소는 판매 급감 요인으로 작용하였고 업계 관계자에 의하면 자동차 판매 저조는 연말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이에 중국 정부는 판매 촉진을 위해 보조금 지원 계획을 세우는 등 내륙 지역에 소형자 및 트럭판매 증대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도요타, 혼다, 닛산 등 일본 자동차 회사들은 자동차 판매가 작년 동기대비 40% 떨어졌다고 밝혔고 반면 BMW, 현대 자동차는 반사이익을 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中, 9월 물가 안정세
중국국가통계국은(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지난달 중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9% 상승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달 2.0% 상승을 밑도는 수준입니다.
식품가격은 2.5% 상승하는데 그쳤고 비식품가격은 1.7% 상승에 머물러 9월중 물가는 전반적으로 안정되었습니다. 함께 발표된 9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작년 동기대비 3.6% 하락하였으며 8월(3.5% 하락)보다 더 내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Yi Gang 인민은행 부총재는 “인플레이션 억제는 인민은행의 최우선 과제이며 올해 전체 CPI 상승률은 2.7%로 정부 연간목표인 4%를 하회할 것”이라고 전하였습니다.
그러나 지속되는 경제 둔화 속에서 은행의 불량채권 비율 증가와 4개월 연속 상승한 집값은 중국 경제성장의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기도 합니다.
매일매일 이메일로 드리고 있는 “홍콩무역관 이과장의 경제 비타민”, 이메일로 받아보기 희망하시는 분들께서는 bill@kotra.or.kr로 회사명(있을 경우), 성명, 직책, 전화번호를 이메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더 많은 정보는 www.globalwindow.org 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 주에는 더 풍성한 소식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홍콩코트라 이주상 과장 bill@kotra.or.kr>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클리홍콩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