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홍콩시위, 정부와 학생 첫 대화... 평행선으로 끝나
  • 위클리홍콩 기자
  • 등록 2014-10-23 16:26:18
  • 수정 2014-10-23 17:48:07
기사수정
  • 홍콩의 행정장관 선거 제도 개혁을 요구하는 민주파의 대규모 시위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홍콩 정부와 민주파의 학생 단체에 의한 정식대화가 21일에 열렸지만 이견을 ..
홍콩의 행정장관 선거 제도 개혁을 요구하는 민주파의 대규모 시위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홍콩 정부와 민주파의 학생 단체에 의한 정식대화가 21일에 열렸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현지 텔레비전으로 생중계되었던 홍콩 정부 측과 시위대 측의 첫 대화에는 양측에서 각각 5명이 참여했다. 정부 측에서 캐리 람(林鄭月娥) 정무사장이, 학생 측에서는 학련의 알렉스 차우(周永康) 비서장이 각각 대표를 맡았다.

캐리 람 정무사장은 “장기적으로 도로를 점거하고 교통을 가로막는 것은 정치 제도에 관한 의론을 방해하여 사회질서를 파괴할 뿐”이라고 말했다」

한편, 8개 대학 학생회 연합체인 홍콩전상학생연회(香港專上學生聯會·학련) 리더들은    “1개월 동안 진행된 시위대에 정부는 83회에 걸쳐 최루탄을 쏘아댔고, 경찰봉으로 시민을 폭행했다”고 비판하고 “시민이 행정장관을 선출할 수 있게 해 달라”고 요구했다.

시민들은 사태수습에 대한 실마리는 잡을 수 있을지 여부를 가슴 졸이며 대화를 지켜봤다.
홍콩에서 시위가 처음 시작된 것은 지난 달 28일. 시위는 3주 이상 계속되고 있고, 시위의 계기는 홍콩정부의 톱(=행정 장관)을 뽑는 선거 제도의 개정이다.

올해 8월, 중국의 국회에 해당하는 전인대(=전국인민대표대회)는 2017년에 치러지는
행정장관의 선거방법에 대해 결정을 내린 것이 시민의 반발을 초래했다.

전인대는 1200명으로 구성된 ‘지명위원회’를 신설하여 2~3명의 후보자를 선출하는
구조. 그러나 이 위원회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것은 중국 정부의 뜻을 따르는 ‘친중파’로, 최종적으로 선택되는 후보자도 ‘친중파’가 된다.

차기 선거에서는 18세 이상의 시민이 직접 투표할 수 있게 되지만, 시위대 측은 “후보자가 한정되기 때문에 ‘진정한 보통선거’라고는 할 수 없다”면서 “이 같은 선거 제도는 홍콩을 무력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누구라도 입후보할 수 있는 구조가 되어야 한다”고 정부에 철회를 강력히 요구했다.

그러나 정부 측은 “철회 요구에는 절대 응할 수 없다”며 기존 입장을 유지하는 한편
“그러나 전인대가 내린 결정은 ‘영원하지 않다’”고 시위대 측에 이해를 구하였다.

결국 2시간에 걸친 첫 대화는 구체적인 합의 없이 막을 내리면서 학생 단체는 점거행동을 계속하겠다고 표명해 양측의 ‘홍콩의 미래’를 둘러싼 첨예한 대립은 다시 제자리를
걷게 됐다.


앞서 이날 렁춘잉(梁振英) 행정장관은 기자들에게 주민 지명 방식을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1200명의 후보지명위원회 구성 방안에 대해선 논의할 여지가 있다고 밝혔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이태원_250109
홍콩 미술 여행
본가_2024
홍콩영화 향유기
굽네홍콩_GoobneKK
NRG_TAEKWONDO KOREA
유니월드gif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