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이 지난 1997년 홍콩의 주권을 반환받은 이후 홍콩을 대륙 경제권으로 통합하려는 목표 아래 '경제 식민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고 연합뉴스..
중국이 지난 1997년 홍콩의 주권을 반환받은 이후 홍콩을 대륙 경제권으로 통합하려는 목표 아래 '경제 식민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고 연합뉴스가 영국 BBC 방송을 인용,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베이징 정부가 그동안 정치적으론 홍콩 주민을 길들이지 못했지만, 경제적으론 홍콩의 명맥을 꼼짝 못 하게 움켜쥐었다.
홍콩의 부동산, 금융,에너지,건축은 물론 주식 시장 등 거의 모든 경제 분야에서 거대한 중국 자본이 날이 갈수록 거세게 밀려오고 있음이 목격된다.
리카싱(李嘉誠) 청쿵(長江)그룹 회장, 카지노업계 대부 스탠리 호, 샹그릴라 호텔체인을 보유한 궈허녠(郭鶴年) 자리(嘉裡)그룹 회장 등 홍콩의 기존 재벌들이 이끌어 온 홍콩의 재계 판도가 바뀌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 자본의 홍콩 쇄도는 사업ㆍ금융 중심지인 센트럴(중환<中環>)에 있는 고층 빌딩 사무실 임대에서 뚜렷이 드러난다. 증권회사인 중신리앙(中信里昻)의 보고서에 따르면 이곳 사무실 임대 새 계약의 절반 이상을 중국계 기업이 했다.
중국과 홍콩 간 경제 관계는 홍콩 주권 반환 이후 꾸준히 발전해왔고, 베이징 당국은 양측 간 경제 통합이 홍콩에 대한 주권 장악을 강화하는 지름길로 여겨왔다고 BBC는 전했다.
베이징 당국은 장기적으로 홍콩을 주장(珠江) 삼각지 경제권으로 편입해 인접한 선전(深천<土+川>) 광저우(廣州)와의 통합 발전을 도모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중국은 제12차 5개년 경제 계획(2011∼2015년)에 이런 계획을 포함하면서 홍콩과 주장 삼각주의 급속히 늘어나는 중산층이 하나의 소비층으로 묶어질 것을 희망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베이징 당국은 홍콩 주권 회복 이후 17년이 지났는데도 홍콩인 상당수가 홍콩이 중국 일부라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 현실에 직면했다고 BBC는 전했다.
최근 홍콩 시민과 학생이 주도한 반(反)중국 도심 점거 시위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2017년 홍콩 행정장관(행정수반) 선거 입후보자의 자격을 제한한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의 선거안 철회를 요구하는 이 시위는 최근 79일 만에 해산됐지만, 한때 시위 참가자 수가 1만여 명을 넘었다.
중국인이 홍콩에 밀려오면서 홍콩 부동산 가격을 올려놓고, 홍콩 사회에 많은 문제를 일으키기도 했다고 BBC는 지적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은 지난 9월 홍콩 재계 대표단을 접견하면서 중국 외교정책에서 보면 홍콩 문제는 비중이 별로 크지 않다면서 중국은 홍콩 정책을 전환할 의도가 없으며, 홍콩 특구 정부를 지지해달라고 당부했다.
베이징 당국의 시각에서 보면 홍콩 주민의 중국에 대한 저항은 별로 큰 문제가 아니다. 더구나 홍콩의 국내총생산(GDP)은 중국 전체의 3%에 불과하다고 BBC는 덧붙였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클리홍콩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