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 Where are you going? B : I've already told you. I'm going out tonight. A : With who..
A : Where are you going?
B : I've already told you. I'm going out tonight.
A : With whom?
B : James!
B : I have to go.
A : What are you going to do tonight? Going to the library?
B : We're going out to eat, and then we're going to watch a movie.
A : Okay, but be home by 8:00.
B : Eight? The movie doesn't start until 7:30.
A : Okay. Be back by 10:00.
A : 어디 가니?
B : 말씀드렸잖아요. 오늘 저녁에 나갈 거라고요.
A : 누구랑?
B : James요!
B : 이제 가봐야 해요.
A : 오늘 저녁에는 무엇을 할 거니? 도서관에 가는 거니?
B : 식사하고 영화를 볼 거예요.
A : 알았다. 하지만 8시까지는 집에 와야 한다.
B : 8시요? 영화가 7시 30분에 시작해요.
A : 알았다. 10시까지는 와야 한다.
[우리말 바루기]
"엄마, 그게 아니에요"
“에요”와 “예요”의 쓰임새
(예1) 하나예요. 저예요. 나비예요.
(예2) 둘이에요. 당신이에요. 꽃이에요.
눈치 빠른 독자는 벌써 알아챘겠지만 '-예요'는 받침이 없는 체언 뒤에 쓰이고 '-이에요'는 받침 있는 체언 뒤에 쓰인다. '이예요'란 표기는 없는 것이다. 그런데 …
"저기, 한 가지만 더요, 그럼 '아니예요'는 '아니'가 받침이 없으니까 '-예요'가 붙어 '아니예요'가 되는 거죠?"
예리한 질문이다. 답변이 쉽지 않을 듯. 어쨌거나 정답은 '아니에요'.
위에서 설명했던 것과는 경우가 다르다. '둘이에요(둘+이+에요)'는 체언(둘)에 서술격조사 (이)와 어미(에요)로 구성돼 있다.
그러나'아니에요'는 형용사 '아니다'의 어간 '아니'에 어미'-에요'가 붙는 경우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클리홍콩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