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밖에 없어.” “그 밖에 없어.” 두 문장은 한 글자도 다르지 않다. 띄어쓰기가 조금 다를 뿐이다. 그러나 의미에는 큰 차이가 생긴다. “그밖에 없어”에서 ..
“그밖에 없어.”
“그 밖에 없어.”
두 문장은 한 글자도 다르지 않다. 띄어쓰기가 조금 다를 뿐이다. 그러나 의미에는 큰 차이가 생긴다.
“그밖에 없어”에서 ‘밖에’는 ‘그것 말고는’ ‘그것 이외에는’의 뜻을 나타내는 조사로 ‘그 사람 말고는 없다’는 의미가 된다.
“그 밖에 없어”에서 ‘밖에’는 바깥을 의미하는 명사 ‘밖(外)’과 조사 ‘-에’가 결합한 형태로 ‘그는 바깥에 없다’는 뜻이 된다.
이와 같이 ‘밖에’는 조사인 ‘밖에’가 있고, 명사 ‘밖’에 조사 ‘-에’가 결합한 ‘밖에’가 있다. 물론 조사일 경우에는 앞말에 붙여 쓰고 명사일 경우에는 앞말과 띄어 쓴다.
이렇게 의미로 띄어쓰기를 구분하는 게 헷갈린다면 조사 ‘밖에’가 쓰일 땐 부정을 나타내는 말이 서술어로 온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클리홍콩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