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말에는 지난 온 1년을 되돌아보며 묵은 것들은 모두 씻어 내고 잘못된 것은 바로 잡고, 미완성인 것에 대한 것은 아쉬움으로 마무리한다. 그리고 새로운 해를 다시..
연말에는 지난 온 1년을 되돌아보며 묵은 것들은 모두 씻어 내고 잘못된 것은 바로 잡고,
미완성인 것에 대한 것은 아쉬움으로 마무리한다. 그리고 새로운 해를 다시 시작하면서
새로운 각오와 결심을 하게 된다. 사람들의 새해소망에는 ‘물질적 여유(돈, 재화)’, ‘신체적-정신적 건강’, ‘정신적 여유’, ‘시간적 여유’, ‘원만한 인간관계’등이다. 이것을 작게 쪼개면 –돈, 건강, 여행, 결혼, 다이어트, 금연-과 같이 나우어진다. 이 중에서 담배 끊기, 금연에 대해서 알아보자.
담배 간략역사 :
9세기 중앙아메리카 지역에서 잎담배의 형태로 존재했고 마야인과 아즈텍인이 종교 행사나 제사 때 담배를 피웠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에 상륙한 후 스페인에 알려졌으며 1559년 스페인 톨레도에서 처음 보급되어 유럽에 전해졌다. 아시아에서는 포르투갈 상인들에 의해서 필리핀으로 처음 전해졌다. 정확하지는 않으나 문헌 자료를 통해 추측해볼 때 한반도에는 17세기 광해군 때에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광해군 당시 국무회의 때마다 조정관리들이 피우는 담배연기가 임금에게로 옮겨가니 화가 난 광해군이 담배를 피우지 못하게 했다고 한다.
담배는 4,000 가지가 넘는 유해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에서 가장 치명적인 성분은 니코틴, 청산가리, 비소, 아세톤, 이다. 이 엄청난 독성물질을 몸안으로 흡수하고 있는 것이다.
주요 독성물질 :
아세톤(Acetone) - 페인트 제거제로 사용되는 물질.
비소(Arsenic) - 농약, 제스 중독 사고의 주 원인이 되는 기체. 헤모글로빈과의 결합력이 산소의 약 200배이다.
20~30년간의 잠복기를 거쳐 폐암을 유발하므로 WHO는 1급 발암물질로 규정했다. 담배의 필터로도 쓰인다. 현미경으로 확대시 바늘 모양처럼 생겼다.
청산가리(Potassium Cyanide) - 독극물의 일종으로 매우 적은 양으로도 사망에 이르며, 사형가스실에서 사용되는 독극물이다. 사과, 배, 복숭아 등 각종 과일 씨에서 검출된다.
니코틴(Nicotine) - 담배 중독의 원인 물질로 지목되었다. 흡연 후 약 1시간 경과후 재흡연을 하도록 유도해 준다.
페놀(Phenol) - 발암 물질로 알려짐.
일산화탄소(Carbon Monoxide) - 화학식은 CO로 쓰이며, 산소 운반력을 떨어뜨리는 저산소증을 유발한다.
금연성공의 열쇠
금연을 하고 싶어도 니코틴에 대한 생각이 뇌에 각인되어 중독성이 된다. 그러기에 아무리 노력해도 이 중독성에서 벗어나기가 쉽지않다. 효과적인 금연계획을 세워놓고 차근차근하게
이 백해무익한 담배중독에서부터 벗어나보자. 우선 본인의 니콘틴 의존도와 흡연형태를 파악해야 한다. 무엇보다 금연동기가 절실하면 금연성공 가능성이 높다.
금연전략 세우기
- 흡연하는 친구들과의 모임 혹은 흡연 장소를 피한다.
- 흡연 충동을 이길 수 있는 대체물을 준비한다.(은단, 무가당 껌, 견과류 등)
- 가족, 친구, 직장동료에게 금연 계획을 알리고 지지를 얻는다.
- 금연에 대한 보상계획을 세운다.
*좋아하는 영화나 식사, 갖고 싶었던 물건등
*금연 1주일, 2주일, 한달, 3개월, 6개월 등 기간별로 계획을 세워 목표치 달성에 대한 만 족감을 갖는다.
- 금연 시작과 함께 바쁘게 지낼 수 있도록 야외활동, 취미생활을 한다.
1. 금연일 정하기 :
* 과중한 업무는 금연일 4-5일 전후로 피한다.
* 주말, 연휴, 결혼기념일, 가족의 생일등과 같은 의미있는 날로 정한다.
* 이사, 가구배치바꾸기, 치아스케일링 같은 생활변화가 일어나는 날로 정한다.
* 중요한 술자리나 결정을 앞둔 시기는 피한다.
* 금연동기, 위기상황대처법을 적어 눈에 잘 띄는 곳에 붙여놓는다.
2. 금연시작당일
* 흡연하지 않지만 한모급도 안된다는 뜻은 아니다
* 걷기, 운동, 혹은 다른 활동이나 취미생활을 활발히 지속한다.
* 물고 주스를 자주 마신다.
* 니코틴 대체재 사용을 지속한다.
* 흡연하고 싶은 상황을 의식적으로 피한다.
전자담배
전자담배의 원리 : 전자담배는 매우 단순한 원리를 가지고 있다. 니코틴이 들어 있는 전자담배 용액을 가열해 기화시킨다. 그 기화된 기체를 담배연기 대신 들이마시고 내뿜는다.
유럽의회는 올해 2월 전자담배에 대해서도 담배와 똑같이 광고를 금지시키고, 제품 곽에 경고문구를 넣는 등의 규제안을 발표했다. 프랑스는 최근 대중교통 시설, 학교 등을 포함한 공공장소는 물론 밀폐된 작업공간에서는 전자담배를 이용할 수 없게 한다는 엄격한 규제안을 발표했다. 전자담배를 담배와 똑같은 물질로 취급하는 셈이다. 우리나라 또한 니코틴이 들어 있는 액상을 사용하는 전자담배를 담배와 똑같이 취급하고 있다. 전자담배도 일반 담배와 같이 유해하다는 뜻이다.
내 몸을 깨끗하고 상쾌하게 회복시키는 ‘금연성공 2019’가 되길 바라는 마음이다.
(자료 : 대한금연학회/위클리홍콩 weeklyhk@hanmail.net)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클리홍콩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