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逆)전세, 깡통전세 언제까지? 한국경제신문 2월 13일자(수) ‘오늘의 뉴스’입니다. 1. 서울 공시지가 14% 올랐다 예상대로 였습니다. 전국 표준지 공시지..
역(逆)전세, 깡통전세 언제까지?
한국경제신문 2월 13일자(수) ‘오늘의 뉴스’입니다.
1. 서울 공시지가 14% 올랐다
예상대로 였습니다.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가 평균 9.43% 올랐습니다. 2008년(9.63%)이후 최고 상승률입니다. 서울이 13.87% 올라 상승폭이 가장 컸습니다. 광주(10.71%), 부산(10.26%), 제주(9.74%)가 뒤를 이었습니다. 시군구별로는 강남구(23.13%), 중구(21.93%), 영등포구(19.86%) 순으로 많이 올랐습니다. 중구 명동8길 네이처리퍼블릭 부지는 전년대비 100% 오른 ㎡당 1억8300만원을 기록했습니다. 가장 비싼 땅입니다. 공시지가가 오른만큼 소유주의 세금 부담도 커지게 됐습니다. 자세히 분석했습니다.
▶ 기사 바로 가기
2. 대형마트 시대가 저물고 있다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는 국내 대표적인 대형마트입니다. 욱일승천의 기세로 유통시장을 점령, ‘동네 슈퍼 다 죽겠다’는 말을 들을 정도였습니다. 최근 혹시 대형마트에 가보셨나요? 좀 썰렁하지 않았는지요? 대형마트는 정점을 찍고 미끄러지고 있습니다. 온라인쇼핑에 밀리고 편의점에 치인 결과입니다. 그러다보니 매출과 이익이 동시에 줄어들고 있습니다. 급기야 무디스는 국내 대형마트 1위 이마트의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12~18개월 안에 의미 있는 실적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입니다. 대형마트의 신화는 이제 저무는 걸까요? 분석했습니다.
▶ 기사 바로 가기
3. 역전세와 깡통전세, 언제까지 계속될 것인가
‘역(逆)전세’와 ‘깡통전세’가 문제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집값과 전셋값이 동시에 내리면서 나타난 현상입니다. 집값이나 전셋값 하락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입니다. 뭔가 대책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그렇다면 역전세는 무엇일까요?
전셋값 하락으로 집주인이 새 임차인을 구할 때 기존 세입자에게 전셋값 차액을 돌려줘야 하는 것을 말합니다. 깡통전세는 집값이 기존 전셋값 이하로 떨어지면서 집을 팔아도 전세보증금을 상환할 수 없는 상태를 가리킵니다. 주변에서 이런 현상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역전세와 깡통전세, 무엇이며, 어떤 영향을 미치고, 언제까지 지속될 것인지를 ‘심층 분석’을 통해 알아봤습니다.
▶ 기사 바로 가기
4. 플러스 뉴스
- 작년 12월 한국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경기선행지수(CLI)는 99.19로 전달보다 0.01포인트 내렸습니다. 2017년 4월이후 21개월 연속 내리막입니다. 외환위기 때보다도 긴 최장기간 하락세라고 합니다.
- 현대자동차와 롯데가 공유자동차 분야에서 연합을 추진했으나 무산됐습니다. 차량 공유 서비스에 대한 택시업계 반발이 걸림돌로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단독보도합니다.
- 정부가 올해부터 5년간 총 332조원을 순수 사회보장성 복지에 쏟아붓기로 했습니다. 이를 통해 삶의 질을 세계 10위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입니다. 좋습니다만, 재원을 어떻게 마련할 지는 밝히지 않았습니다.
5. 13일의 뉴스 포커스
- 통계청은 1월 고용동향을 발표합니다. 작년 내내 논란이 됐던 일자리가 올들어서는 개선되는 추세인지 확인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좋은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하영춘 편집국장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클리홍콩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