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동포에 대한 참정권 보장에 대해 대상 및 규모 등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재외국민 10명 중 9명은 참정권이 부여되면 투표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나라당 조원진 의원이 5일 배포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재외국민이 선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입법조치가 된다면 '반드시 참여하겠다'가 46.8%, '가급적 참여하겠다'가 42.3%를 차지해 89.1%가 투표에 참여할 의향을 보였다. 반면 '참여하지 않겠다'는 응답은 4%로 나왔다.
조 의원은 지난달 4∼22일 미국, 중국, 일본, 캐나다 등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동포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응답자의 46.5%는 한국국적자이고, 38.2%는 한국국적을 소지한 영주권자이며, 15.3%는 외국국적자(시민권자)이다.
재외국민이 참정권을 행사하면 73.5%가 '긍정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반면에 '부정적인 효과가 클 것'이라는 견해는 10.1%로 나타났다.
참정권 범위와 관련, 응답자의 59.3%가 '대통령 선거까지' 생각하고 있으며, 14.8%는 '국회의원 지역구 선거까지', 11.3%는 '국회의원 비례대표 선거까지', 3.3%는 '지방의원 비례대표 선거까지'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선거 운동 방법과 관련, 63.7%는 '해외 특성을 고려해 선거운동 방법을 제한해야 한다'고 답했고, 26%는 '국내 선거와 똑같이 해야 한다', 10.3%는 '모르겠다'고 답했다.
현재 '정부의 재외동포 대상 각종 지원 및 정책적 고려가 어떻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83.3%(미약하다 47.3%, 너무 미약 36%)가 미약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많다'고 생각하는 동포는 1.3%에 그쳤다.
정부의 재외국민 권익보호 정책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68.2%가 '부족하다'고 답했고, '보통' 28.6%, '잘 되고 있다' 3.2% 순이다.
정부가 재외동포를 말로만 민족자산이라고 할 뿐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도 이번 조사결과 밝혀졌다.
응답자의 70.6%(그렇지 않다 50.8%, 전혀 그렇지 않다 19.8%)가 민족자산의 활용성에 대해 동의를 하지 않고 있으며, '보통' 26.9%, '그렇다' 2.5%로 조사됐다.
재외동포정책 집행기구 체계와 관련 응답자의 64.5%는 '하나로 일원화해 통합서비스를 하는 것이 좋다'고 꼽았고, 다음은 '재외동포재단의 위상과 권한의 강화'(18.5%), '잘 모름'(10.3%), '현행의 다원적 체계가 좋음'(6.7%) 순으로 답했다.
재외동포재단의 역할 및 사업과 관련, 응답자의 57.2%가 '보통'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잘못하고 있다'는 38%, '잘하고 있다'는 4.8%로 나타났다.
특히 잘못하고 있는 이유는 재단의 전문성 부족(44.7%), 다음으로 '외교통상부 산하기관이라서 자율성·독립성이 제약을 받기 때문'(17.5%), '재단의 예산부족'(9.6%), '재단의 존재 자체를 모름'(9.6%) 등의 순이었다.
ⓒ위클리홍콩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