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미국의 명문대학 탐방] 메사츄세츠 공대(MIT)
  • 위클리홍콩 기자
  • 등록 2009-03-26 11:13:53
  • 수정 2009-03-26 11:14:29
기사수정
  • 제263호, 3월27일
세계의 명문대학 탐방 - [미국의 명문대학] 메사츄세츠 공대(MIT)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T

메사츄세츠 공대는 캘리포니아 공대(Cal Tech)와 조지아 공대(Georgia Tech)과 더불어 미국 3대 명문 공대 중의 하나로 1861년 보스톤 공대로 처음 시작하였다.

이후, 윌리엄 바톤 로저스 (William Barton Rogers) 의 실용적이면서 실질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1865년 처음 학생들이 입학하게 되었다. 오늘날 MIT 가 미국 최고의 공과 대학이 될 수 있었던 점은 아마도 Rogers가 급격히 산업화된 미국 사회에 가장 현실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대학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 점에서 찾을 수 있다. MIT 는 하버드에서 제공하지 못한 과학과 공학 프로그램을 미국 동북부의 우수한 인재들이 배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립 되었다.

<아카데믹>
총 5개 School 과 하나의 College 에 총 34개 과로 구성된 대학이다.
건축 대학: 건축학, 도시학, MAS (Media Arts & Sciences)
공과 대학: 우주 공학, 생명 공학, 화학 공학, 환경 공학, 전기, 전자, 컴퓨터, 기계 공학 등의 학과가 있다.
인문, 사회 과학 대학: 인류학, 비교문학, 경제학, 외국어, 역사, 철학, 문학, 음악, 정치학, 작품 등이 있다.
슬로안 경영 대학: 경영학과
과학 대학: 생물, 화학, 물리, 수학, 지구 과학 등이 있다.
Whitaker College of Health Sciences & Technology

노벨상 수상자들 중 61명 이상이 MIT 에서 학부, 대학원을 나왔거나, 교수 및 연구원으로 있었다. 물리학과에서 26명, 화학 분야에서 12명, 경제학 분야 13명, 의학 분야 8명, 평화 분야에서 2명이 노벨상을 받았다. 특히, 케인즈 경제학을 발전시킨 폴 새뮤엘슨 교수는 전 세계 사람들에게 가장 알려져 있는 현대 경제학자 일 것이다. 또한, 어문학 전공자들이 한번쯤은 들어봤을 "노암 촘스키" 는 MIT 언어학과 교수이다. 1921년, 테크니컬러가 MIT 학생 허버트 칼머스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레이더가 이곳에서 개발되었다. 테크니컬러 개발로 인해 컬러 사진, 컬러 영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학생들 모두 많은 시간을 연구와 공부에 보내야 하지만 파티도 열심이다. MIT는 또한 특이하게 1학년 때는 A, B 등의 학점이 없고 Pass 또는 Fail 로 학점을 주기 때문에 처음 대학 입학 때부터 학교 적응 시까지 충분히 공부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고 있다.

24시간 개방하는 도서관이 있으며 학부생들도 노벨상 수상자 교수들과 공부 및 연구 할 수 있는 대학이다. 또한, 미국에서 학생 클럽 활동이 가장 많은 대학이다.

스트레스를 쉽게 풀 수 없는 사람에게 가장 힘든 대학 일 수 있다. 실제로 최근 한국 학생들의 자살을 보면서 학생들이 얼마나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엄청난 시간을 공부와 연구에 투자해야 하고, 학생들끼리 경쟁도 심해 아주 스트레스가 많은 곳이다. 그러나 필자는 주변에서 많은 MIT 한국 학생들이 열심히 재미있게 공부하는 모습을 보고 있기 때문에, 도전해 볼 수 있는 학교라고 생각한다.

<교수와 학생수>
현재 총 983명의 교수와 4,136명의 학부 생 그리고 6,184명의 대학원생들이 현재 등록된 상태이다. MIT는 1871년부터 여학생을 받기 시작해서 현재 학부에 총 1,765명(43%)과 대학원에 1836명 (약 30%)이 여학생이다. 현재 학부 생 1939명 (47%) 그리고 대학원생 995명 (16%)이 소수 민족으로 전체 학생 중 약 30%가 소수민족 출신이다. 타 대학에 비해 입학기회가 높다는 점이 다르다. 또한 외국인 학생은 총 2724명이 등록된 상태이고 이중 348명이 학부에 2376명이 대학원에 등록된 상태로 MIT는 학부 보다는 대학원 입학이 유학생에게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학생과 교수 비율은 6:1 정도 이다.

<장점과 단점>
1. 최고의 연구 시설과 프로그램 보유
모든 공학과 자연 과학 프로그램이 대부분 Top에 속하며 특히 컴퓨터 공학, 의학 공학, 원자 공학, 기계 공학, 미생물학, 재료 공학 등은 1등이다. 또한 경제학과 언어학이 아주 우수해 비록 공과 대학이지만 사회과학 프로그램이 우수하다는 점이 MIT 특징이며, Sloan 경영 대학은 미국에서 가장 들어가기 힘든 곳 중에 하나이다.

2.세계적인 명성과 최고의 교수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공과 대학이고 교수들 모두 자신들의 분야에서 1인자이며 연구 수준도 최정상이다. 학생들 또한 거의 천재적이며 전 세계에서 수학 및 과학에 재능 있는 인재들이 많이 몰려있다.

3. 어수선한 캠퍼스와 높은 물가, 그리고 열악한 주택 상황이 아쉽다. 학교에서 운영하는 기숙사나 아파트로 들어가는 것이 좋다.

<입학>
외국인 학생들은 ED (Early Decision)을 신청할 수가 없기 때문에 RD (Regular Decision)만 신청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적어도 영주권자 이상 일 때만 ED를 신청할 수 있다. 입학 결정은 학교 성적, 개인의 장점들, 그리고 특이한 관심 및 성취 등을 많이 본다. 2005년도 총 10,443 이 지원하여 1495명이 학부에서 입학 허가를 받았다. 이중 외국인 학생들은 총 2210명이 지원하여 112명이 입학 허가를 받았다.
SAT I 평균 (Verbal: 690-770, Math: 740-800)
ACT 평균 (31-34)
SAT II Math: 740-800, Science: 710-790, Humanities:700-800

<입학 전략>
1. 얼마나 많은 도전적인 과목들을 들었나? 또한 성적은 어떤가?

2. 수학 경시 대회 (AMC, IMO, HMMT) 입상 경험과 각종 과학 경시 대회 참여 및 입상 경력. 필자의 경험에 의하면 Harvard-MIT Math Tournament 입상 경력과 AMC (American Math Contest) 입상 경력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HMMT는 누구나 응시 가능하기 때문에 도전해 볼만하다. 그러나 문제는 무척 어렵다.

3. 특별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리서치 경험
가장 유명한 특별 프로그램은 CTY, Promys, MIT research summer, Harvard, Cornell, Upenn research program등이 있다.

4. 높은 AP 성적과 SAT I (2150 이상)과 SAT II (Math 2C:750 이상, Biology:700 이상, Physics:750이상, Chemistry:750 이상), 입학된 많은 학생들이 실제로 SAT 2-3 과목에서 만점 (800 점)을 받았다.

5. 학교 방문 및 인터뷰

6. 봉사활동 및 각종 클럽활동 (Math, Science team) 등이 중요하다. 특히 1번에서 4번까지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등록금 및 장학금>
2004-2005 년도 등록금은 총 $30,800 이고 기숙사비는 $9,100이다. 그러나 MIT는 재정 지원 상태가 매우 좋기 때문에 재정적인 이유로 공부를 할 수 없다는 이유는 말이 안될 정도로 재정 보조가 좋다. 학생들 중 72%가 Need-based financial aid를 받고 있다. 평균 장학금은 $20,500이고 평균 보조금은 $28,600 정도이다.

<졸업 후>
학부 졸업생 중 67%는 바로 대학원에 진학하고 나머지 33%는 바로 취직이 된다. 주된 회사는 Mckinsey & Co., Microsoft, MIT, Goldman Sachs, IBM이고, 주된 대학원은 Harvard, MIT, Stanford, UC Berkeley, UCLA등이다. 평균 월급은 학부 졸업시 $54,294, 석사 $86.193, 박사 $85,898 정도를 받고 있다.

세계 최고의 공과 대학 그러면서도 사회과학 프로그램들 (경제학, 철학, 언어학, 정치학) 과 경영 대학이 최고 수준인 대학 MIT는 모든 조건이 완벽히 갖추어도 떨어질수 있다. 그러나 필자가 지적한 입학 전략을 잘 참조하여 도전해 보는 것이 어떨까 싶다.

<자료제공 :보스톤 교육원 정준기 원장, 617-497-2306, www.bostonedu.org>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이태원_250109
홍콩 미술 여행
본가_2024
홍콩영화 향유기
굽네홍콩_GoobneKK
NRG_TAEKWONDO KOREA
유니월드gif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