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홍콩의 역사 산책] 센트럴 경찰서 건축물 -3
  • 위클리홍콩 기자
  • 등록 2009-07-16 15:57:04
  • 수정 2009-07-16 16:03:28
기사수정
  • 제278호, 7월17일
국부(國父)가 빅토리아감옥에 수감되었었다?
2004년 중구의 경찰서건물 확충계획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키면서, 대중들은 「국부가 빅토리아감옥에 수감되었었나?」라는 의문을 갖기 시작하였다. 중국인들의 국부 손중산(孫中山)은 과연 빅토리아감옥에 수감되었던 걸까? 손중산 일생의 행적을 회고해보자.

손중산의 본래이름은 손문(孫文 쑨원)이며, 홍콩공리당에서 받은 세례명단에는「손일신 孫日新」이라고 적혀 있다. 후에 구봉지(區鳳墀)가 그의 이름을 「일선 逸仙」이라 바꿔 주었고, 이후에 또 다시 바꾼 「손일선 孫逸仙」이라는 이름은 공부를 하며 혁명할 당시 쓰였다.

손중산(이하 쑨원)과 홍콩의 묘한 인연
쑨원이 홍콩에서 공부할 당시 그는 홍콩에서 혁명사상을 키워갔고, 흥중회(興中會)를 결성, 그곳에서 혁명 활동을 도모하여 마침내 청조(淸朝)을 뒤엎고 중화민국(中華民國)을 건설했다. 쑨원의 홍콩생활은 대략 2단계로 나눠 볼 수 있다.

1. 학문시기
 쑨원은 1993년 11월 Diocesan Home(讀拢萃書室)에 입학하여 홍콩에서 교육을 받았고, 그 후 Central School(中央書院 훗날 Queen's College)에 들어갔다. 졸업 후, 1886년 광주(廣州)로 돌아가 박제의원(博濟醫院)의 남화의학당(南華醫學堂)에서 의술을 공부하였다. 그러나 이듬해 가을 구봉지(區鳳墀)에게 런던 전도회를 소개받았고, 홍콩의 교과과정이 비교적 우수하고 언론 역시 비교적 자유로워 혁명사상을 고취시키기에 좋다고 판단하여 다시 홍콩으로 돌아와 서의서원(西醫書院 예전 홍콩대학 의학원)에 입학한 후 1892년 7월 졸업하기까지 계속하여 공부하였다. 이 시기에 쑨원은 늘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과 모여 최근 국내외 사건을 연구하고 혁신정치의 포부를 논하며, 나라와 국민을 구하는 방도를 찾아다니면서도 시종 홍콩의 법을 범하는 일이 없었고, 어떤 범죄를 저지른 기록도 없었다. 그러니 어떻게 감옥에 수감될 수가 있었겠는가?

2. 혁명시기
 1894년 쑨원은 이홍장(李鴻章)에게 청조정치개혁을 요구하는 상서를 올렸지만 실패하였고, 그 후 혁명의 길을 걸었다. 1894년 11월 미국 하와이에서 흥중회를 창립하고, 이듬해 2월 홍콩에 흥중회 분회를 세우면서 규정을 수정하여 성명의 초안를 잡았다. 홍콩의 《덕신서보 德臣西報》와《사멸보 士蔑報》등 신문의 지지를 얻고 중국인 입법국의원 하계(何啓)에게 물질적 도움을 받음으로써 광주봉기 계획에 착수하였다.

1895년 10월 광주봉기가 실패로 돌아가자 쑨원은 광주에서 마카오를 거쳐 홍콩으로 돌아왔고 또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16년의 긴 해외망명생활을 하였다. 청나라정부는 홍콩에 쑨원을 인도해 줄 것을 요청하였지만 홍콩정부는 1889년 법을 통과시켜 중국정치범은 홍콩의 소관이 아니라는 성명을 발표하여 청나라 중앙정부가 홍콩사법의 독립을 침해하는 것을 피하였다. 혁명당원들이 홍콩에서 활동하는 것은 영국의 손해도 중국의 이익도 아니었으며, 청나라의 심한 항의를 야기 시키지도 않았다. 이렇게 홍콩정부는 모든 것을 허용하는 태도를 취하였다. 그러나 이후, 홍콩정부는 청나라 정부의 요청을 받아들여 쑨원이 홍콩을 드나들거나 체류하는 것을 금지하였다.

손문 기념관
손문 기념관
 홍콩총독 로빈슨(Sir Hercules ROBINSON 羅便臣)은 1896년 3월 4일 쑨원에게 5년간의《추방령》(Banishment Order 쑨원 기념관에 전시되어있음)을 내렸다. 이《추방령》이 내려졌을 당시는 쑨원이 홍콩을 떠난 지 이미 4개월이 넘어서였다. 이미 알고 있듯이 1895년 쑨원은 광주봉기를 일으켰으나 홍콩정부에 의해 체포되지도, 빅토리아감옥에 수감되지도 않았다.

1896년 쑨원은 감옥에 들어갔다. 하지만 그가 수감된 곳은 홍콩이 아닌 런던이었다. 그는 청나라 대사관에 의해 12일을 감금되었고, 후에 그의 은사 강덕려(康德黎)의사는 쑨원을 구하기 위해 동분서주하며 신문의 여론압력을 이용해 영국경찰이 개입하도록 하여 그를 위험에서 구해냈다. 런던에서의 쑨원 박해는 결과적으로 그를 세상에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고, 사람들은 그를 중국혁명의 지도자라 여겼다. 그러자 홍콩정부는 쑨원의 입국수속을 신중하게 처리하였다.


<홍콩의 역사산책 발췌, 정신표(丁新豹) 엮음>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이태원_250109
홍콩 미술 여행
본가_2024
홍콩영화 향유기
굽네홍콩_GoobneKK
NRG_TAEKWONDO KOREA
유니월드gif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