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민족 사회의 구현홍콩 이슬람교의 발전배경은 매우 복잡하다. 중국 회족에서 기원한 것 외에 인도와 파키스탄의 무슬림, 중동의 아랍인,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의 무슬림 등이 홍콩에 흘러들어 무슬림민족을 이루었다.
이슬람교의 전입과 신자들의 홍콩정착무슬림이 홍콩에 발을 내딛은 때를 학설로 따지면 저 멀리 당송(唐宋)시대까지 올라간다. 이들은 바닷길을 통해 지금의 툰문을 거쳐 광주로 들어와 중국과 무역을 하였다.
아편전쟁 전후, 영국 상선이 홍콩에 정박하면서 일부 무슬림상인과 선원들이 이 시기에 홍콩에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군인과 경찰 그리고 상인들에 이르기까지 많은 무슬림들은 중환과 상환의 Gage Street와 Graham Street 일대와 현재의 Larscar Row에 모여 살았다. 그들은 이곳에 거주하면서 1850년대에 Larscar Row에 이슬람 사원인 「마라묘(摩羅廟)」가 세워지면서 홍콩에 정식으로 이슬람교가 정착했다.
이슬람교 예배당Shelley Street과 Mosque Street의 교차점에 위치한 홍콩에서 가장 오래된 이슬람사원은 현재 홍콩 1급 역사건축물이 되었다. 사원 입구와 가까운 Shelley Street는 본래 Ladder Street로 최근 완공한 중환 미들레벨의 에스컬레이터와 인접해 있다.
1849년 이슬람 사원이 완공되었을 당시에는 초라한 작은 돌방에 지나지 않았으나 1870년 증축공사를 통해 정식 이슬람사원(Shelley Street Mosque. 사진)이 건축됐다.
이웃해 있는 Mosque Street 와 Mosque Junction Street의 이름 또한 이슬람사원과 연관이 있다. 이 사원은 그 후, 1915년 사원의 첨탑을 보존한 채로 재건하여 지금과 같은 모습이 되었다.
센트럴의 에스컬레이터(Shelley Street)를 따라 Caine Road를 지나면 곧바로 홍콩에서 가장 오래된 이슬람사원의 녹슨 철문이 나온다. 이 문 위에는 「이슬람교 예배당」이라고 자세히 쓰여 있으며, 간혹 2-3마리의 새끼고양이가 문 앞에서 환영한다.
이슬람사원은 직사각형이고 정문은 아치형으로 되어있으며, 사방에는 아랍특색의 아치형 창문이 있다. 사원은 4,000평방미터에 달하며 약 360명을 수용하여 기도집회를 할 수 있다. 사원의 외벽은 회백색이며 머리를 들면 꼭대기에 달과 별을 상징하는 미나레트(아랍어로 '등대')가 보인다. 정문 옆 미나레트는 이슬람사원을 상징하는 건축물로 무슬림이 예배를 드리러 올 수 있도록 부르는 역할을 한다.
이슬람교가 사회와 신앙 그리고 생활의 조화를 중요시하는 특색은 이 건축물에도 잘 반영되어 있다. 이슬람교는 항상 예배 15분전에 미나레트의 나팔소리로 예배를 알리며, 이 때문에 미나레트는 주변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이다. 또한 미나레트는 형태가 각기 다르며 그 나팔소리는 가늘고 부드럽다. Shelley Street 이슬람사원의 마나레트는 베란다를 뚫고 나와 있다.
1451년 (명대 종경태 2년), 초승달은 오스만제국의 휘장이 되어 이슬람교의 새로운 문명 창립을 상징 하였다. 그 후, 많은 이슬람사원을 상징하는 돔과 첨탑이 세워졌고, 「별과 달」은 후대인이 달이 두드러지게 도안을 설계하였다.
이슬람사원 안에는 테이블과 의자가 없다. 또 조각상이나 그림도 찾아 볼 수 없다. 그러나 자세히 보면 다채롭고 예술적인 벽, 문과 창문, 천화(天花) 그리고 양탄자가 있다. 사원 안은 비록 눈부시게 화려하지는 않지만 평온하고 침착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이슬람사원의 대리석 기둥과 창틀, 문은 모두 기하학적 모양으로 설계되어 있고, 알록달록하게 채색되어있는 식물도안은 양탄자와 대리석 기둥, 주춧돌에서 볼 수 있다. 또한 《코란경》경문은 유리창에 그려져 있거나 혹은 벽에 걸려있다. 이런 것이 이슬람사원에서 볼 수 있는 장식들이다.
이슬람교는 우상숭배를 엄격히 금지하였으며, 어떠한 초상이나 동물 장식도 금지 시켰다. 이로써 이슬람예술가들은 그들만의 독특한 예술경지를 발전시켜 나갔다. 이슬람사원은 아랍어로 「Masjid」이며 이는「머리를 조아려 경의를 표하다.」라는 뜻으로 신도들은 예배시 머리를 조아려 경의를 표하고, 허리를 굽혀 절을 하기도 한다. 양탄자에 무릎을 꿇고 머리를 들면 중앙 돔 안에 팔각형의 스테인드글라스가 보인다. 창문 중앙에는 아랍어로 되어있는 알라의 이름이 서예체로 아름답게 쓰여 있다.
화교 후손과 외국 무슬림의 성쇠제2차 세계대전 시기에 많은 외국무슬림들이 홍콩을 떠났고, 전쟁 후 돌아와 정착한 사람은 많지 않았다. 그러나 전쟁당시 오히려 많은 광동의 무슬림들은 홍콩으로 피난을 왔다. 이 시기에 홍콩에 이슬람교도 수가 많이 증가했으며 이들의 응집력이 강화된 것을 알 수 있다.
1949년 중국이 해방되면서 광동과 대륙의 많은 사람들을 포함해 많은 무슬림과 회족 지식인들이 홍콩으로 들어왔다. 수십년간 홍콩에 화교 무슬림 수는 급격히 증가하였고, 그들은 화교 무슬림사회를 형성하였다. 그 밖에 대부분의 인도계 무슬림은 홍콩사회를 떠나거나 퇴출당하였다. 오늘에 이르러 홍콩사회가 발전하고 신장됨에 따라 무슬림들은 이전처럼 홍콩 중서구와 완짜이 부근에 모여 살지 않고, 오히려 각기 다른 사회로 흩어졌다.
<홍콩의 역사산책 발췌, 정신표(丁新豹) 엮음>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클리홍콩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