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홍콩 역사 산책] 상환(上環) - 6
  • 위클리홍콩 기자
  • 등록 2009-11-19 12:37:40
  • 수정 2009-11-19 12:38:33
기사수정
  • 제294호, 11월20일
백성사당(百姓廟)

백성사당과 동화의원의 창립

 양약에 대한 중국인들의 공포심과 홍콩의 중국인들이 믿을만한 중의(中醫) 서비스를 하는 곳이 부족했었기 때문에 홍콩총독 Sir Richard Graves Macdonnell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의원 건립에 나섰다.

Macdonnell은 백성사당을 개혁하여 병들고 가난한 사람들을 돌보는 증의소(贈醫所)를 세워 중약과 중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1만5천위안을 출자하여 상환 普仁街(Po Yan Street)부근에 병원건립을 계획하였다.

중국인 단체역시 사당을 대신할 병원 건립을 위해 모금을 하였고, 동화의원은 이러한 배경 아래 1872년 준공 되었다. 중국의 저명한 학자이자 신문사 직원인 왕도(王韜)는《창건동화의원서(創建東華醫院序)》라는 시를 지었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태평산 옆, 예부터 소위 광복자항(廣福慈航)이라 불리는 곳이 있는데, 관이 오고가는 곳으로 병들어 죽어가는 사람들을 옮기는 곳이다. 그러나 시신을 안치하는데 있어 관리가 잘 되지 않아 이미 철거를 통보하였다. 량군학소(梁君鶴巢)와 진군서남(陳君瑞南)이 이곳을 책임지고 관리하기를 청하였고, 이로 인해 옛터를 새로이 확장하여 잠시 의료 봉사하며 병을 치료하는 곳이 되었다. 경비가 나올 곳이 없었는데 20명의 사람들이 돈을 기부하였다. 이러한 일은 잠시 뿐이었으며 항상 그러한 것은 아니다. 그러자 단체는 이전 책임자인 Macdonnell공에게 부탁하여 땅과 돈을 받았고, 심지어 장례까지도....... 그래서 병원은 그 큰 공적을 알리었다.」

이를 통해 동화의원의 설립과 공동사당에 직접적인 관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동화의원이 설립된 후, 정부는 사당조직을 해산하라는 명령을 내렸고,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약을 나누어주는 자선사업의 모든 관할권을 동화의원에 넘겨주는 한편 사당 역시 회수하여 동화의원이 관리하도록 하였다.

광복공동사당과 보량국(保良局)
광복공동사당 문전비석에는「본 사당은 지역에서 좋은 용도로 운영하기 위해 함께 건설한 보량국이다.」라는 문구가 있어 광복사당과 보량국의 관계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

19세기 말엽 홍콩에서는 여성과 어린아이를 유괴하는 풍조가 성행하였다. 강도들은 양가집 규수들에게 처음에는 일자리를 주겠다고 속여 홍콩으로 데려와서는 강제로 기녀가 되게 하여 해외로 팔거나 전국각지에 나누어 팔았다.

어린 남자아이와 여자아이는 양자·양녀로 팔았으며, 심지어 여자아이는 접대부나 기생으로도 팔았다.

1878년 4명의 부유한 상인이 홍콩총독 Sir John Pope Hennedy에게 「인신매매가 성행하고 있으니 상금을 모금하여 관군에 기부하고 도망친 범죄자들을 붙잡자.」고 건의하였다. 또한 「선민보호(善民保護)」를 위해 여성과 어린아이를 전적으로 책임지고 보호할 수 있는 사회단체설립을 신청하였다. 그리하여 1879년 홍콩정부는「홍콩 보량국」건립을 허가하여 유괴된 여성과 어린아이 구출을 위한 조사원을 파견하여 강도들을 법으로써 심판하였고, 거처를 마련하여 유괴되었던 여성과 어린아이를 수용하는 한편 그들을 집으로 돌려보내거나 성인이 될 때까지 보육하는 등 인신매매 근절에 힘썼다. 동시에 보량국에서는 동화의원의「평안(平安)」, 「복수(福壽)」 두 사무실을 잠시 빌려 봉사활동을 전개하였다.

 보량국 설립을 건의한 4명의 부유한 상인 중 2명은 동화의원의 총리를 지냈던 사람들로 동화의원과 보량국의 관계는 매우 친밀하였다. 1891년 보량국의 초임총리와 동화의원 이사는 정부에 동화의원이 관할하는 광복공동사당 普仁街(Po Yan Street)구역에 보량국 건설을 신청하였고, 홍콩총독 Sir William Robinson은 이를 허가하였다. 마침내 보량국은 1896년 준공되었고, 계속하여 인신매매 예방을 추진하여 가정 내 내분을 조정하고, 여성과 어린아이에게 일자리를 보장하였다.

1931년 보량국은 현재 주소인 통로완구(銅鑼灣區) 레이톤도(禮頓道)로 이사하였고, 사당구역을 동화의원에 반환하였다.


<홍콩의 역사산책 발췌, 정신표(丁新豹) 엮음>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이태원_250109
홍콩 미술 여행
본가_2024
홍콩영화 향유기
굽네홍콩_GoobneKK
NRG_TAEKWONDO KOREA
유니월드gif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